항목 ID | GC08701085 |
---|---|
한자 | 履怵齋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율동리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안득용 |
건립 시기/일시 | 1908년 - 이출재 건립 |
---|---|
현 소재지 | 이출재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율동리 |
원소재지 | 이출재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율동리 |
성격 | 재숙소 |
소유자 | 광주안씨 문중 |
관리자 | 광주안씨 문중 |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율동리에 있는 개항기 재숙소.
[개설]
이출재(履怵齋)는 휴헌(休軒) 안억수(安億壽), 익찬(翊贊) 안인(安忍), 안인의 아들 안윤조(安胤祖) 등을 비롯한 광주안씨(廣州安氏) 누대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재숙소(齋宿所)로서 안억수의 14대손인 승지(承旨) 안희원(安禧遠)이 주창하여 1908년에 지었다.
[위치]
이출재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율동리에 있다. 율동리는 광주안씨의 세거지(世居地)이다.
[의의와 평가]
안억수는 1441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예안현감(禮安縣監)을 지냈다. 숙부인 안완경(安完慶)이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안평대군(安平大君) 일파로 몰려 경상남도 양산(梁山)에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되자 현감 직을 버리고 경상남도 밀양으로 은거하였다. 이로써 볼 때, 혼정(混政)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을 돌보고 돌아보며 안심입명(安心立命)했던 태도는 이출재가 지금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가치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