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0328
한자 天恩寺內浮屠-浮屠碑群
영어공식명칭 Stupas and Stone Stupas of Cheoneun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 816[내미로리 78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도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천은사 내 부도와 부도비군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 816[내미로리 785]지도보기
성격 부도|부도비
양식 원수형|석종형

[정의]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 천은사에 있는 부도와 부도비군.

[개설]

용파당(聳波堂)의 속성은 김씨이고, 법명은 궤체(軌體)이다. 1773년(영조 49)에 출가하여 계자화상(季子和尙)성각(聖覺)의 상좌로 불법에 귀의하여 1822년(순조 22)에 입적하였다. 용파당비진주김응로가 글을 짓고 연일정익신이 글씨를 새겼다.

인담당대선사 영순(仁潭堂大禪師 永淳)의 부도와 부도비는 도요지의 남쪽 약 30m 지점인 산자락의 부도밭에 있다.

해운당대선사 탄숙(海雲堂大禪師 坦淑)은 1746년(영조 22) 윤 3월 초 9일에 입적한 후 같은 해 6월 9일 부도를 세웠으며, 비석은 1772년(영조 48) 6월 24일 화상(和尙) 재훈(再訓)이 세웠다.

[건립 경위]

조선 후기인 영조와 순조대에 당시 흑악사[현재 천은사]에 주석하고 있던 승려들이 입적한 후 이들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부도와 부도비이다.

[위치]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 816[내미로리 785] 천은사 경내에 있다.

[형태]

1. 용파당비(聳波堂碑)

크기는 109×39.5×11㎝이며, 비석은 뚜껑돌[개석(蓋石)]이 없이 비신과 비좌만으로 만들었다. 비의 윗부분은 둥글게 처리한 원수형(圓首形)이고, 사각형[방형(方形)]의 비신 받침 위에 비를 세웠다.

2. 인담당 대선사 영순 부도와 부도비(仁潭堂大禪師 永淳 浮屠碑)

부도의 형식은 석종형이다. 비석의 후면은 풍화 작용에 의한 박리 현상과 백화 현상으로 말미암아 판독이 불가능하다. 비석은 뚜껑돌이 없이 비신과 비좌만으로 만들었다. 비의 윗부분은 둥글게 처리한 원수형이고, 연꽃 문양이 조각된 사각형의 비신 받침 위에 비를 세웠다.

3. 해운당 대선사 탄숙 부도와 부도비(海雲堂大禪師 坦淑 浮屠碑)

부도의 형식은 석종형이다. 비석의 일부 글자는 풍화 작용에 의한 박리 현상과 백화 현상으로 말미암아 판독이 불가능하다. 비석은 뚜껑돌이 지붕 형태인 팔작옥개석(八作屋蓋石)이고, 사각형의 비신 받침에 비를 세웠다.

[금석문]

1. 용파당비(聳波堂碑)

〈전 면〉

용파당비명(聳波堂碑銘)

유명조선국강원도삼척부서령두타산용파당비서 명적사(有明朝鮮國江原道三陟府西嶺頭陀山聳波堂碑序 明寂寺)

두타산수청강무릉인거적류현손계승연중석가초속심진성유범궁효지종친도상덕중수양산아석위만□십고마□(頭陀山水請降武陵人去跡留賢孫繼承緣重釋伽超俗尋眞誠裕梵宮孝至宗親道尙德重水洋山峨石爲萬□十古摩□)

숭정후사기축중추하한(崇禎後四己丑仲秋下澣)

진주김응로찬(眞珠金應魯撰)

연일정익신서(延日鄭益新書)

〈후 면〉

유차선사출가초범속성김씨법명궤체대사학생삼돌지계자화상성각지상좌문계영화수법몽은생어건륭삼십팔재계사국추초구적우도광이년임오팔월순칠공불□영운삼간명삼처분재어곤계질서손육친진구초속법□□시구족생천제치도해박시지은승속난망시이상좌우□□□득이청기우여여역흥선숙의무간고망기졸근기적□□□좌가선석우첨법풍의장의종손□좌서산십□□손호남표충도유사보경당석응철□경승인-----장질김월성득이선남차질대득대원………대□대신당질영순(惟此禪師出家超凡俗姓金氏法名軌體大師學生三乭之季子和尙聖覺之上佐聞戒嬴華受法夢隱生於乾隆三十八載癸巳菊秋初九寂于道光二年壬午八月旬七供佛□靈雲三看明三處分財於昆季侄壻孫六親塵臼超俗法□□施九族生天諸緇渡海博施之恩僧俗難忘是以上佐宇□□□得伊請記于余余亦興禪夙誼無間故忘其拙謹其蹟□□□佐嘉善釋宇添法風義藏義宗孫□佐西山十□□孫湖南表忠都有司寶鏡堂釋應哲□鏡勝仁-----長侄金月成得伊先男次侄大得大元………大□大信堂侄永淳)

2. 인담당 대선사 영순 부도비(仁潭堂大禪師 永淳 浮屠碑)

〈전 면〉

인담당대선사영순지도(仁潭堂大禪師永淳之圖)

무□인담상 영주방월생 미지제백납 □□일사양(無□仁潭上 靈珠倣月生 微知諸白衲 □□日斜陽)

〈후 면〉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아예 불가능함.

3. 해운당 대선사 탄숙 부도비(海雲堂大禪師 坦淑 浮屠碑)

〈전 면〉

해운당대선사탄숙지도(海雲堂大禪師坦淑之圖)

〈후 면〉

건륭십일년병인윤삼월초구일입적(乾隆十一年丙寅閏三月初九日入寂)

상좌(上佐)

가선수□ □□□ □천 청파대선(嘉善秀□ □□□ □天 淸波大禪)

손좌(孫佐)

환송추계 정월태관 통정재선 치경 회총 회연(喚松秋啓 淨月兌冠 通政再善 致敬 會聰 會衍)

체활 최청 최합 치욱 회현 보건 법류 법기 경민(體活 最晴 最合 致郁 會玄 寶健 法留 法杞 敬敏)

통정태□ 궤주 통정대균 통정쾌인 궤원 완월려한 재즙 재설 최심 치명(通政泰□ 軌柱 通政大均 通政快忍 軌元 翫月呂閑 再楫 再雪 最心 致明)

홍제 최엽 연수 통정량희 최식 가선광제 대주통정진휴 통정쾌엽 가선치관(弘濟 最葉 演守 通政亮熙 最湜 嘉善廣濟 大주通政進休 通政快葉 嘉善致寬)

최숙 쾌인 쾌민 일진(最淑 快仁 快敏 一眞)

양공(良工)

양덕흥(楊德興)

병인육월십구일 입도(丙寅六月十九日 立圖)

임진육월이십사일입시 화상재훈(壬辰六月二十四日立時 和尙再訓)

[현황]

비록 비석은 많이 마모되고 약간 기울었지만 원래 세운 자리에서 잘 보존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도비에 기록된 내용을 통하여 조선 후기 천은사에 주석한 스님들의 현황과 사찰 연혁 일부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