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척 쉰움산과 민간 신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1118
한자 三陟-山-民間信仰
영어공식명칭 Samcheok Swinumsan and folk religion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유적/민간 신앙 유적
지역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하거노리
집필자 김도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쉰움산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하거노리 지도보기
성격 민간 신앙

[정의]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쉰움산과 관련된 민간 신앙.

[개설]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하거노리에 있는 쉰움산에서 행해지는 민간 신앙의 전통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다음의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1.『세종실록지리지』, 세조 연간[15세기]

두타산(頭陁山): 부의 서북쪽에 있다. 산허리 돌 사이에 우물 50이 있으므로, 이름을 오십정(五十井)이라 한다. 크게 가물면 모두 마르고 ‘오직’ 한 우물만 마르지 아니한다. 읍인(邑人)들이 봄·가을에 제사지낸다.

2.『신증동국여지승람』, 1530년(중종 25)

두타산(頭陀山): 부(府) 서쪽 45리에 있다. 산 중턱에 돌 우물 50곳이 있으므로 그대로 오십정(五十井)이라 부른다. 그 곁에 신사(神祠)가 있는데 고을 사람이 봄 가을에 제사하며, 날씨가 가물면 비를 빈다.

3. 허목, 『척주지』, 미로리(眉老里), 1662년(현종 3)

흑악사[현재 천은사] 위에는 오십정(五十井)[현재 쉰움산]이 있는데 산 바위 위에 돌구멍 50개가 뚫려 있다. 그 가운데 깊은 구멍에는 이끼가 두껍게 끼어 있고 물이 맑아 신정(神井)이라고도 하는데 날이 가물면 기우제를 지낸다. 또 읍인들이 봄·가을에 큰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있다.

4.『여지도서』 삼척도호부 산천(山川,) 영조(18세기 중반)

두타산: 삼척백복령의 괴협이 두타산을 이룬다. 산 위에 돌 우물 50곳이 있으므로 그대로 오십정(五十井)이라 부른다, 우물 곁에 신사(神祠)가 있다. 관아에서 서쪽으로 45리이다.

5. 심의승, 『삼척군지』, 1916년, 미로면 구적명승 조

흑악사는 본래 백련암(白蓮庵)으로 나중에 간장(看藏) 또는 천은사(天恩寺)로 되었다.[군지(郡誌) 참조] 또 그 북쪽 산 위에는 오십정(五十井)이 있는데, 오십 군데의 작은 석정(石井)이 만들어져 있으므로 그러한 명칭을 붙였다. 옛날부터 읍인들이 봄가을로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있다.

[위치]

쉰움산 아래 계곡에 위치한 용당, 좌불암과 함께 중턱에는 은선암이 있어 산치성, 산멕이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산의 정상에는 쉰움정이라 하여 가물면 기우제를 지낸 장소이며, 원당이라 하여 돌 제단이 조성되어 있어 내미로리 사람들을 중심으로 산멕이가 행해진 신앙 처소이다. 그 주변에는 삼심을 모신 돌탑이 조성되어 있으며, 원당 위쪽으로 오르면 태백산을 행해 먼산맞이를 하는 장소가 있고, 산멕이를 한 후 삼신을 받는 삼신당 또한 별도의 공간으로 있다.

[형태]

쉰움산에서 산멕이 등 민간 신앙 의례가 행해지는 처소는 쉰움산 정상에 있는 원당, 중턱에 있는 은사암, 천은사 뒤에 있는 용당이고, 부수적인 의례가 행해지는 곳은 천은사 뒤에서 쉰움산으로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있는 부정당과 쉰움산 정상에 있는 먼산맞이 장소와 삼신을 위하는 장소가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당은 쉰움산 정상에 돌로 만든 제단 형태인데, 높이 약 1m, 길이 약 10m로서 쉰음정 아래에 있다.

은사암(隱士岩)은 은사암(隱士庵) 또는 은선암이라고도 한다. 두타산오십정 아래 0.5㎞ 지점에 있어 기암 괴석이 층층으로 놓여 있다. 옛날 은사암이란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지금도 암자를 지었던 주추돌과, 온돌석(溫突石)이 드문드문 보인다. 석벽이 장방형으로 둘러 있고 미끈히 깎은 듯한 주석(柱石)이 석벽 사이로 서 있는데 지붕은 천연암석으로 덮여 있고 방바닥은 마치 장판과 같은 반석이 평평하게 깔려 있다. 이곳에는 춘추로 산제(山祭) 치성인들이 각처에서 운집하며 이곳은 천장지비(天藏地秘)의 기승(寄勝)이요 절경이다.

용당은 천은사 뒤에 있는 계곡을 오르다 보면 큰 바위가 있는 곳이다. 은사암(隱士岩)까지도 가기에 버거운 사람들이 산메기를 하는 장소이다.

부정당은 천은사 뒤의 계곡을 따라 오르다가, 쉰움산 정상을 향해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위치해 있다. 부정당은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복재가 부정경을 구송하며 부정 풀이를 하는 장소로 예전에는 이곳에 짚을 태워 넘어감으로써 부정을 풀었다고 한다.

먼산맞이를 하는 곳은 원당에서 두타산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서 큰 바위가 있는 곳이다. 웃대 어른이 태백산이나, 기타 심산유곡에 있는 산을 위하던 집안에서는 현재 태백산을 비롯한 조상들이 모시던 산에 가지 못하므로, 가까이에 있는 쉰움산에서 비록 산메기를 하지만 태백산 등을 위하던 전통을 생각하여 먼산맞이를 하는 장소이다.

삼신을 위하는 곳은 원당에서 두타산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면 돌이 비탈을 이룬 곳인데, 개인적으로 삼신으로 위하는 돌을 세로로 세워둔 곳이다. 삼신을 위하는 집에서 삼신메를 지어 정성을 드리는 장소이다.

[의례]

내미로리 쉰움산에서의 산멕이를 주요 사례로 그 순서를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상님께 고하는 것을 시작으로 부정풀이 - 부정거리 - 산신맞이 - 먼산맞이 - 조상맞이 - 삼신맞이 - 용신제 - 군웅거리 - 말명거리 - 조상길 가르기 - 뒷거리 - 유흥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현황]

산기도나 산치성은 개인적으로 와서 드리는 정성인데, 주로 물이 있는 주위에 와서 정성을 드린다. 주로 쉰움산 계곡 안에 있는 좌불암, 은선암, 쉰움산 정상의 원당과 함께 쉰움산 계곡 곳곳에 돌탑이 조성된 것으로 보아 기도 장소는 매우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산멕이는 쉰움산에 오르는 입구에 부정당이 있어 부정을 치며, 산에 오르지 못하는 사람들이 산멕이를 하는 용당이 계곡 내에 있다. 은선암과 원당 등 현재 쉰움산 내에 있는 민간 신앙 처소는 지금까지 이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쉰움산은 입구의 천은사, 이승휴 선생 유적지와 함께 많은 베풂을 바탕으로 산신령의 영험함이 높은 산이다. 이에 조선시대의 각종 기록에 신앙 처소로 소개되었으며, 현재 산멕이를 비롯한 각종 민간 신앙 행위가 이루어지는 성스러운 장소로 평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스러움을 발현할 수 있는 요인은 쉰움산이 지닌 풍부한 물과 자연 자원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