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바위와 샘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753
한자 龍-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6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서산군 고북면 장요리에서 명창동[남, 54]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서산민속지』하 수록
관련 지명 용바위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2구
채록지 서산군 고북면 장요리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지도보기
성격 전설|지명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용|모씨
모티프 유형 부정|신성성 훼손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에서 용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1991년 서산문화원에서 간행한 『서산민속지』 하의 152~153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최운식·김창진 등이 1986년 12월 22일 충청남도 서산군 고북면 장요리[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명창동[남, 54]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고북면 장요리 2구용바위가 있다. 이 용바위 밑에 있는 샘에서는 늘 맑은 물이 나와 사람들이 식수로 사용하기도 하고, 혹은 여성들이 빨래를 하기도 하였다.

근데 이 샘 속에는 용이 살아서 여성들이 이 샘가에서 빨래를 하면 용이 꼬리를 흔들어 물을 흐리게 한다고 전한다. 때문에 이 샘을 신비롭게 생각하여 위하였다. 샘 앞에서 제사를 지내고 관리인을 두어 관리하는 등 샘을 청결하게 유지하였다.

그런데 어느 해인가 모모한 사람이 이 용바위 위에 자신의 조상 묘를 썼다. 이렇게 묘를 짓고 난 뒤로 용이 자취를 감추었다. 곧 용이 꼬리를 흔드는 등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용바위와 샘물」은 내용 자체가 소략하여 모티프로 설명하기에 부족함이 있으나 부정(不淨), 신성성 훼손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용의 거처에 무덤을 지었다고 하는 대목에 주목하여 부정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인간의 무덤 조성은 신성 공간에 대한 오염 내지 파손 행위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