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505
한자 順天旌忠祠
영어공식명칭 Jeongchungsa Shrine, Suncheon
영어음역 Jeongchungsa Shrine, Suncheon
영어공식명칭 Jeongchungsa Shrine, Suncheon
이칭/별칭 장윤사당,정충사(貞忠祠)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정충사길 9-15[저전동 27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희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82년연표보기 - 정충사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86년 - 순천정충사 정충사로 사액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 - 순천정충사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907년 - 순천정충사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07년 - 순천정충사 단청 새로 칠함
개축|증축 시기/일시 1907년 - 순천정충사 외삼문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05년 7월 13일연표보기 - 순천정충사 전라남도 기념물 제23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순천정충사 전라남도 기념물 재지정
현 소재지 순천정충사 - 전라남도 순천시 정충사길 9-15[저전동 276]지도보기
원소재지 정충사 - 전라남도 순천시 정충사길 9-15[저전동 276]
성격 사우
양식 목조 와가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목천장씨충의공파종회
관리자 목천장씨충의공파종회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남도 기념물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저전동에 있는 조선시대 의병장인 장윤의 사액 사우.

[배향 인물]

장윤(張潤)[1552~1593]은 1582년(선조 15)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있던 중 부친의 병환으로 낙향했다가 사천현감으로 복직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전라좌의병 부장(副將)으로 활동하였다. 1593년 6월 진주성을 다시 공격하자 이를 사수하기 위해 진주성으로 출동하였다. 당시 일본군의 기세에 눌려 진주목사 이하 장수들이 도주하자, 비분강개한 장윤은 충청병사 황진(黃進), 경상우병사 최경회(崔慶會),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10배 이상 많은 일본군과 힘을 다해 싸우다 순절하였다.

[위치]

순천정충사순천시 저전동 뒷산의 하단 경사지에 동향(東向)으로 자리하고 있다. 사우 전면으로는 주택가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으로는 바로 담장을 사이에 두고 태사묘(太師廟)가 있다. 신좌을향(辛坐乙向)으로 자리 잡았다.

[변천]

1682년(숙종 8)에 순천의 유림이 중심이 되어 정충사(貞忠祠)를 건립하여 장윤을 배향하였다. 1685년에 유생 조필문(趙弼文) 등이 청액소를 올려 1686년(숙종 12)에 사액을 받아 ‘정충사(旌忠祠)’라 하였다. 1810년(순조 10)에는 순천부사 조진화(趙晉和)가 「정충사우기」를 지었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1907년 장현석 등이 복설하였고, 1946년 중수하였다. 1972년 단청을 하였고, 1978년에 외삼문을 중건하였다.

[형태]

순천정충사 경내는 경사가 심하다. 막돌담장으로 둘러진 경내에 사당, 강당, 외삼문, 내삼문, 협문, 관리사 등이 세워져 있다. 사우의 전체 배치는 외삼문 전면과 강학 구성과는 약 3.8m의 지반차를 두고 사우를 꾸민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이다. 사당은 앞면 3칸, 옆면 1칸 반의 맞배지붕집이다. 앞면 반칸은 퇴칸(退間)으로 개방 처리하였다. 가구(架構)[기둥이나 공포 위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나 구조물의 총칭]는 5량가(樑架)이다. ‘정충사(旌忠祠)’라 적힌 편액은 송운회[1874~1965] 글씨이다.

외삼문은 ‘경의문(景義門)’이라는 편액이 있고 앞면 3칸의 평대문이다. 지붕은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사당 앞면의 문과 태사묘로 연결되는 협문은 두리기둥을 세운 맞배 일각대문이며, 관리사로 통하는 측문은 맞배 사각대문이다.

[현황]

순천정충사는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23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순천정충사의 운영과 관련된 『정충사보부록(旌忠祠寶裒錄)』[1682], 『순천부 교원집강(順天府校院執綱)』[1811], 『심사록(尋祠錄)』[1827], 『절목(節目)』[1865] 등 17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는 자료들을 보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순천정충사는 조선시대 의병장의 사액 사우로서 역사적 의미가 크며, 순천 지방의 향촌사회사 연구에 귀중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