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603 |
---|---|
이칭/별칭 | 「꼬리치레」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집필자 | 이원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0년 11월 17일 - 국가 무형 문화재 제70호로 지정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9년 - 『양주의 옛소리』에 수록 |
가창권역 |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618-2 |
성격 | 민요|의식요 |
기능 구분 | 의식요 |
가창자/시연자 | 김인기|김환익 |
문화재 지정 번호 | 국가무형문화재 |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꼬리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개설]
「꼬리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꼬리 모양에 대하여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꼬리치레」라고도 한다. 「이내력」 다음에 영감이 「꼬리내력」을 시작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36쪽에 실려 있다. 「꼬리내력」은 당시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주민 김인기[양주소놀이굿 기능 보유자]와 광적면 효촌리 주민 김환익[남, 69]이 소장하고 있는 가사집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김인기 소장본을 기준으로 하여 양주문화원 향토사료조사팀이 정리하였다.
[구성 및 형식]
소의 꼬리를 치레하는 부분임에 반해 실제 내용은 ‘-고리’, ‘-꼬리’로 끝나는 단어를 병렬적으로 나열하고 있을 뿐이다. 이상의 「눈내력」, 「코내력」, 「입내력」 등에서 불린 바와 같이 토끼에 해당하는 경우가 마지막에 제시되며, 끝으로 청자에게 다시금 질문하는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내용]
앉은고리 동고리구요/ 선고리 문고리/ 나는고리 꾀꼬리요/ 나무꾼의 지게꼬리/ 오색단청 딱따구리/ 총각도련님 댕기꼬리/ 아주먼네 치마꼬리/ 조화많은 용의꼬리/ 석가래 조종은 가재꼬리/ 신농씨 백초야에 이슬털던/ 토끼의 꼬린데/ 어떤 꼬리를 찾으시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신농씨(神農氏)는 중국 삼황(三皇)의 하나로서 ‘염제(炎帝) 신농’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한족에게 농사를 짓는 방법에 대해 알려 주고, 수백 가지 식물을 직접 먹어봄으로써 약초를 가려내었다고 한다.
[현황]
양주소놀이굿은 현재 양주소놀이굿보존회를 통하여 전수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양주소놀이굿은 경기도 북부 지역의 독자적인 무당굿놀이로 재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의의 역시 이 점에서 찾아야 마땅하다. 「꼬리내력」에서는 ‘꼬리’와 유사한 ‘-고리’, ‘-구리’의 음을 가진 단어를 사용하고 ‘-꼬리’로 끝나는 여러 단어의 특징에 대해 함축적으로 의미를 설명하면서 다양한 경우의 꼬리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동음 반복에 의한 운율감과 언어 유희적 요소를 다분히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