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나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3337
한자 旨羅-
영어의미역 Jina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지나마을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효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마을
총인구(남, 여) 206명[남 107명, 여 99명]
가구수 91가구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유래]

마을 명칭 유래는 그와 관련한 구전 및 문헌적 자료가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지나마을이 속한 花濟마을의 본 이름이 ‘곶나루’였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와 관련이 있지 않아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지형 중에는 곶(串)이 곶[花]으로 변한 지명이 많이 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화성군 남양면이다. 반도형(半島形)으로 생긴 갑(岬)을 ‘곶‘ 혹은 ‘고지’ 이라 한다. 남양 반도라 불리듯 화성군 남양면은 전체가 곶으로 되어 있고, 그 곳에는 ‘花粱浦’가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마치 입을 내밀 듯 서해 바닷가로 삐죽히 뻗은 지형이다. 바다로 삐쭉히 내민 곶에 형성된 마을을 ‘고지돌’ 혹은 ‘곶돌’이라고 하는데, 여기서의 ‘곶’을 ‘岬’으로 훈차하지 않고 그보다 훨씬 미화된 ‘꽃’으로 음차하여 ‘花’차자표기한 것이다. 따라서 ‘花濟’ 역시 처음에는 ‘곶나루’ 혹은 ‘곶포’였다가 이후 한자로 기록되는 과정에서 ‘花津’ 또는 ‘花浦’로 바뀌어졌을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는 양산읍지초(1878) 지보 교량(橋梁)편에 수록된 화자포교(火者浦橋)라는 용어에서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이 다시 구체적인 시기는 알 수 없으나, ‘津’ 혹은 ‘浦’가 발음상의 문제로 ‘건너다’ 또는 ‘나루’라는 뜻을 가진 ‘濟’로 바뀐 것으로 보여진다. 화제리가 속한 곳은 지금은 수위가 낮아져 토교마을에서 건너편 범서마을까지 육지로 연결되어 있지만 수위가 높았던 조선시대 이전의 모습을 상상해보면 오봉산 주위는 낙동강을 향해 돌출된 곶의 형태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순 우리 말은 ‘곶’은 ‘岬’-‘華’-‘花’로 기록되어 왔던 것으로 보여지고, 충남 태안반도의 ‘꽃지’ 해수욕장도 실은 꽃[花]이 아니라 ‘곶’인 셈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화제의 원래 표기는 ‘花濟’가 아니라 ‘華濟’였을 것으로 보여지는데, 이는 낙동강 하구의 ‘華明’과 차별화 되는 과정에서 달리 기록한 것으로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와 같이 ‘旨羅’는 ‘花濟’의 원래 이두인 ‘곶지’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인 추론일 것으로 사료된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화자포교(火者浦橋)의 ‘者’는 ‘놈 자’로 쓰이지만 장소를 나타내는 ‘곳’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특히 김해의 ‘龜旨’는 그 뜻이 ‘높은 곳’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어서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지나마을은 원래 ‘곶지나루’라는 뜻인 ‘花旨津’었다가 ‘곶’이 떨어져 나가고 ‘旨津’으로 된 것으로 보여진다. ‘津’이 ‘羅’로 되는 것은 나루(津)의 고어가 ‘’였었던 것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된다. 결국 ‘旨羅’는 ‘곶지나루’ 또는 ‘화제나루’의 준말이 셈이다.

[형성 및 변천]

지나마을지나·감토봉(甘土峰)·독점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다. 약 400여 년 전 영산신씨(靈山辛氏)·상주주씨(尙州周氏)·벽진이씨(碧珍李氏)가 살다가 주씨와 이씨는 서편으로 이주하여 갔다고 한다. 감토봉은 지나마을의 안쪽에 있는 마을로 좋은 황토가 나오는 곳이라 감토봉이라 하였다. 거기에는 도자기를 구운 흔적이 있다. 독점은 큰독점, 작은독점으로 양분되어 있다. 큰독점에는 영산이씨가 입촌하였고, 작은독점은 약 200여 년 전 김녕김씨(金寧金氏)가 정착하여 한때는 독점김씨라 한 적도 있는 집성촌이었다. 독점에는 지명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옹기굴이 있었다.

[자연환경]

마을 서쪽은 토곡산, 마을 동쪽은 오봉산으로 둘러 쌓여 있다. 또 마을 앞으로는 화제천이 흘러 낙동강과 합류한다. 마을은 전형적인 전원형 농촌마을이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인 쾌적한 주거환경이 갖추어져 있다. 다만 도심과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탓에 접근 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도 하다.

[현황]

양산시청에서 국도 35호선을 건너 양산시보건소 방향으로 진행하다보면 삽량교가 나온다. 이 다리를 건너 진행하다 만나는 첫 번째 사거리에서 범어사거리 방향으로 우회전하면 지방도 1022호선을 만나게 된다. 이 지방도를 따라서 황전아파트까지 진행하면 길이 두 갈래로 갈려지는데, 오른쪽 길을 택해서 직진하면 한라콘크리트, 토교마을, 명언마을을 차례대로 만날 수 있다. 지나마을은 명언마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내에는 마을회관 및 노인정이 위치하고 있고, 주위에는 주변 풍광을 배경으로 찻집, 식당 등이 들어서고 있는 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