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369
한자 古墳
영어음역 Gobun
영어의미역 Tumulu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선사/청동기,고대/고대,고려/고려
집필자 김성태

[정의]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선사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무덤.

[개설]

우리나라에서 고분을 비롯한 매장 유적 중 가장 이른 것은 강원도 석회암 동굴 지대의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인 흥수굴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매장 유적은 각 시대별로 변화하였다. 신석기시대의 패총 유적에서 발견되는 매장 유구는 주로 토광을 만들고 여러 가지 치레걸이로 장식한 시체를 안치하는 간단한 구조였다. 청동기시대에는 지하에 매장 시설을 갖추거나 지상에 돌방을 조성한 다음 큰 뚜껑돌을 올린 매장 유적인 고인돌이 전국적으로 축조되었다. 이와 더불어 석관묘와 큰 토기에 인골을 매납하는 옹관 등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철기시대에 접어들면서 토광묘와 토광에 목관 내지 목곽이 더해지는 매장 시설이 만들어지면서 시체와 함께 부장품들도 다양해지고 그 양도 많아졌다.

삼국시대에는 고분이 본격적으로 많이 만들어졌다. 각 국의 문화적 성격에 따라 묘제의 차이는 다소 있으나 대체로 세력자의 무덤을 중심으로 외형적 구조가 화려하고 위세를 드러내는 더욱 거대한 모습이 되었다. 또한 고분은 특정한 지형적 요소가 적합한 곳에 군을 이루면서 조성되는 경우가 많게 되었다. 용인 지역에 분포하는 상당수의 고분군도 넓은 개활지가 조망되는 구릉 남사면 내지 동사면에 집단적으로 축조되는 양상으로 발견되었다.

[분포]

용인에서는 선사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고분 유적이 알려져 있다. 이 유적들은 대부분 각종 개발 사업에 따른 구제 발굴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대표적인 고분 유적으로는 죽전 대덕골 유적·언남리 유적·청덕동 유적·마북동 고분군1·마북동 고분군2·마북동 고분군3·동백동 고분군·중동 고분군·보정리 소실 유적·용인 보정동 고분군·보정리 고구려 석실분·마성리 유적·마성리 마가실 고분·전대리 고분·서리 고분·좌항리 고분군·두창리 유적·두창리 고분군·운학동 돌방무덤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은 근삼리·사암리·상하동·왕산리·주북리·맹리·유운리·장평리·좌항리 등에 분포한다. 고인돌의 형식은 북방식과 남방식이 모두 확인된다. 특히, 한강 하류와 그 남쪽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북방식이 용인 지역에 다수 분포해 있는 점은 이 지역의 정치 세력의 성격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주요 고분으로는 동백동 고분군·용인 보정동 고분군·운학동 돌방무덤·죽전동 고분군·전대리 고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용인 보정동 고분군을 위시한 보정들 서편에 남북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소실봉 산록 동사면 자락에서 발굴 조사된 고분군은 고구려가 한강 유역과 용인 일대를 점령하고 있던 시대부터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하고 이후 삼국을 통일하던 시대까지의 연속성을 알 수 있는 고분 유적이 연이어 확인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밖에 마평읍 석담마을에는 백제 초기 지배층의 묘제와 관련된 적석총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

고려시대의 고분은 마북동·서리·식금리·좌항리 등에 분포한다. 고분의 구조는 토광묘·석곽묘·횡구식 석실분·횡혈식 석실분 등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