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심곡서원 학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1911
한자 深谷書院學規
영어음역 Simgok Seowon Hakgyu
영어의미역 School Regulations of Simgok Confucian Academy
이칭/별칭 「도암 이재 학규」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203-2[심곡로 16-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인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규
작가 이재(李縡)[1680~1746]

[정의]

조선 후기 이재가 지은 심곡서원의 규칙서.

[개설]

「도암 이재 학규」로도 불리는 「심곡서원 학규」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재(李縡)[1680~1746]가 지은 심곡서원의 규칙서이다. 현재 상현동에 있는 심곡서원 강당에 현액되어 있다. 심곡서원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인 1650년(효종 1) 사액(賜額)된 서원으로,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를 봉안하였다.

[구성]

「심곡서원 학규」는 총 18개 조목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서문이 있다.

[내용]

내용을 보면 독서의 차례. 장의와 직월의 임무, 서원 내에서의 행실, 강설 불참자에 대한 체벌과 상벌에 관한 사항, 원장이 해야 할 일, 서원 운용과 재정에 관한 사항, 서원 내 장서의 반출과 수납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춘추 향사에 관하여 선비들이 습득하고 행하여야 할 의식과 유생 상호간에 지켜야 할 예의, 서원의 전곡 수납에 관한 사항, 강학할 서책의 복습과 예습에 관한 사항, 강회 참여 유생의 출석과 근태 등을 세세히 열거하였다. 도암 이재는 서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적어 학규를 지은 취지를 나타내고 있다.

“배움이라 함은 사람됨을 배우는 것을 말함이다. 사람다워지는 방도는 한 권의 『소학』에 실려 있다. 주자께서 말씀하기를 ‘그것이 사람의 모양을 만드느니라’ 하였는데 무릇 선비가 배움에 뜻을 가졌다면 이 책을 제하고는 어디서 찾겠는가? 우리 문정공 정암 선생은 실로 동방 도학의 종주인데, 그의 배움은 곧 『소학』을 위주로 하여 사서와 『근사록』에 이른 것이다. 대개 듣는 바로는 한훤당 김굉필 선생은 노년에 이르러서도 ‘소학동자’라 자처하였다고 하니, 정암 선생은 소시에 한훤당으로부터 학문을 배웠기 때문에 이 책을 독실하게 믿는 것이니, 이와 같은 연원은 스스로 있는 바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향리에는 다행히 여러 번 선생이 머물렀던 곳이며 의대와 신발과 조두를 모시고 있음으로 무릇 우리는 봉맥지사라 할 것이니, 어찌 흥기하여 돈독하게 하지 않으리오. 이제로부터 서원에 있는 자는 선생의 그림자를 따라 의당 선생이 읽으신 바의 글을 읽으며, 선생께서 읽으시려고 했던 글을 읽고자 하며, 또한 스스로 『소학』부터 시작하여 서로 면려함이 옳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