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30012 |
---|---|
한자 | 德溫公主衣服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의복/의복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죽전동 12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민주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7년 2월 16일 - 덕온공주 의복 국가민속문화재 제211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덕온공주 의복 국가민속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장처 | 단국 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죽전동 126] |
성격 | 의복 |
재질 | 비단|명주|금|모시 등 |
크기(높이,길이,너비) | 원삼: 113㎝[앞 길이], 164㎝[뒤 길이], 44.5㎝[품], 164㎝[한삼 포함한 화장]|당의: 73㎝[길이], 36㎝[품], 67㎝[화장]|장옷: 111㎝[길이], 40㎝[품], 69㎝[화장]|부금 회장저고리: 16㎝[길이], 34㎝[품], 53㎝[화장]|송화색 저고리: 19㎝[길이], 38㎝[품], 67㎝[화장]|옥색 저고리: 19.9㎝[길이], 35.5㎝[품], 65㎝[화장] |
소유자 | 단국 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
관리자 | 단국 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
문화재 지정 번호 | 국가민속문화재 |
[정의]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단국 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덕온공주가 생전에 입었던 예복과 평상복.
[개설]
덕온공주 의복은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셋째 딸인 덕온공주[1822~1844]가 입었던 원삼, 당의, 장옷 등의 예복 각 1점과 삼회장저고리 1점, 누비 삼회장저고리 2점 등의 평상복이다. 덕온공주는 1829년(순조 29) ‘덕온’ 작위를 받았으며, 1837년(헌종 3) 윤의선(尹宜善)과 혼인하였다. 윤의선의 양자로 들어간 윤용구의 딸 윤백영(尹佰榮)이 물려받아 보관하다가 석주선[1911~1996]에게 기증하였다. 1987년 2월 16일 국가민속문화재 제21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원삼은 왕실 여성 및 반가 부녀자의 예복으로 앞 길이 113㎝, 뒤 길이 164㎝, 품 44.5㎝, 한삼을 포함한 화장은 164㎝이다. 겉감은 녹색 화접문사이며 수복자(壽福字)가 전자체(篆字體)로 부금이 되었다. 소매에는 홍색, 황색의 끝동과 흰색의 한삼이 달려 있다. 남색으로 선단을 둘렀다. 깃은 배자깃 모양의 좁은 깃이 마주한 대금 형태이며, 매화 모양의 은단추가 달려 있다. 원삼의 내작은 6·25 전쟁 때 소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당의는 왕실 여성의 소례복으로 길이 73㎝, 품 36㎝, 화장 67㎝이다. 겉감은 녹색도류사로 된 홑당의로 옷 전체에 수복자가 부금 되어 있다. 겉깃은 당코깃이며 안깃은 목판깃이다. 자주색 고름이 달렸으며, 속고름은 명주이다. 소매 끝에는 흰색 명주로 된 거들지를 달았다.
장옷은 외출용 겉옷과 쓰개용으로 사용된 외의로 길이 111㎝, 품 40㎝, 화장 69㎝이다. 겉감은 초록색 경광주로 만들었으며 안감은 연분홍색 다듬이 모시이다. 소매 끝에 끝동을 달고 그 위에 흰색의 거들지를 달았으며, 깃은 목판깃으로 자주색이며, 자색과 홍색의 이중 고름이 달려 있고, 겨드랑이 아래 자주색의 삼각형 무와 같은 당을 달았다. 동정은 흰색 명주이다.
녹색 부금 회장저고리는 평상시 입던 상의로 길이 16㎝, 품 34㎝, 화장 53㎝이다. 겉감은 녹색 도류사이며 안감은 연분홍 모시이다. 깃, 곁마기, 고름은 자주색 도류사이고 안고름은 홍색사(紅色紗)로 되어 있다. 저고리 전체에 수복자가 부금 되어 있다. 깃은 당코깃이다.
누비 삼회장저고리는 평상시 입던 상의로 하나는 송화색 도류사 회장저고리이며 다른 하나는 옥색 설한초 누비저고리이다. 송화색 저고리는 길이 19㎝, 품 38㎝, 화장 67㎝이며, 옥색 저고리는 길이 19.9㎝, 품 35.5㎝, 화장 65㎝로 큰 차이는 없다. 깃은 모두 당코깃이며 깃, 곁마기, 고름, 끝동에 자적색으로 된 삼회장저고리이다. 누비에 입체감을 준 오목누비이다.
[용도]
덕온공주 의복 중 원삼은 대례복 또는 예복으로 입었으며, 당의는 치마저고리 위에 입는 소례복이었다. 장옷은 겉옷인 포로도 입었으며, 머리 위에 둘러써서 쓰개로도 사용하였다. 저고리는 모두 평상시에 착용한 상의이며 누비저고리는 겨울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