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30029 |
---|---|
한자 | 任埅肖像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상갈동 8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인수 |
[정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경기도 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임방의 초상.
[개설]
임방(任埅)[1640~1724]은 본관이 풍천(豐川)이다.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제자로 문과에 급제한 후 공조 판서에 오르고 1719년(숙종 45) 80세 때 고령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신임사화(辛壬士禍)로 금천에 유배되었다가 사망하였다. 일찍이 연잉군(延礽君)[훗날 영조(英祖)]의 세자 책봉에 앞장선 바 있다. 임방초상(任埅肖像)의 오른쪽 화면 위에 적혀 있듯이, 그 해 4월 17일과 18일에 열린 기로회(耆老會)의 행사 장면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화첩인 『기사계첩(耆社契帖)』을 만들고 남은 초상으로, 1744년(영조 20) 장황(粧䌙)[비단이나 두꺼운 종이를 발라서 책이나 화첩(畫帖), 족자 따위를 꾸미어 만드는 것] 하였다. 2009년 3월 10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그렸으며, 크기는 세로 75.5㎝, 가로 45.8㎝이고, 족자 형태로 되어 있다. 임방은 오사모를 쓰고 쌍학흉배가 붙은 단령을 입었으며 삽금대를 착용한 채 화면 왼편을 향하여 몸을 약간 튼 자세이다. 상반신만 묘사했고 배경은 그리지 않았다. 오사모는 형태를 정확하게 묘사하였으며, 날개에도 착시 현상에 따라 어른거리는 무늬를 표현하였다.
[특징]
얼굴은 갈색 필선으로 이목구비와 주름을 섬세하게 나타내고, 옅은 갈색으로 윤곽선 부위를 칠하여 굴곡을 나타냈다. 단령의 옷 주름도 사실적이고 자연스럽게 처리했으며 역시 명암을 표현하여 입체감이 두드러진다.
[의의와 평가]
1744년 영조가 기로소에 들어가면서 『기사계첩』을 살펴보고 임방에 대해 회고한 일이 있다. 따라서 1719년 제작되었던 임방의 초상이 한참 뒤인 1744년 비로소 새로 표장되었던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