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201
한자 說話
영어공식명칭 Tal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미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옛날부터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서사구조를 지닌 꾸며낸 이야기.

[개설]

설화는 서사문학이며 꾸며낸 이야기라는 점에서 소설과 같지만, 말로 구연이 되어 전승된다는 점에서 어느 한 개인에 의해 창작된 소설과 구별된다. 설화는 구전되는 문학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가변적이다. 전승자의 머릿속에 보존되었다가 청자를 만나서 구연이 되는데, 기억으로 존재하던 설화가 언어로 구연되는 과정에서 각편(各篇)[version]이 출현하게 된다. 같은 구연자라고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나름의 수식을 덧붙이기도 하고 같은 상황, 같은 청자라고 해도 기본적으로 기억에 의한 전승은 매번 정확하게 반복될 수 없기 때문에 변이형이 생긴다.

설화는 대체로 전승자의 태도, 시간과 장소, 증거물, 주인공과 그의 행위, 전승의 범위, 기능, 결말의 특징 등을 기준으로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하고 있다. 때로 그 경계가 모호해지기도 한다. 신화가 신성성을 상실하면 전설과 비슷해지고, 증거물이 없어지면 전설은 민담과 비슷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화, 전설, 민담이 지닌 각각의 속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유용하게 활용된다. 전라북도 완주 지역에 전승되는 설화는 전반적으로 전설의 속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광포 된 설화인 경우에도 완주 지역의 특성, 지역민의 관심사와 생활사, 감정 등이 진솔하게 표현되어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의 지명 설화]

전라북도 완주의 지리적 특징, 명칭의 유래, 습관의 기원 등을 보여주는 이야기들이 있다. 이것은 전라북도 완주의 특정한 장소가 증거물이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예컨대 「복조리형국의 마을」, 「계실의 지명 유래」, 「애통이 마을의 유래」, 「댁건너 지명의 유래」, 「덕산마을의 유래」, 「마을이름 ‘망표’의 유래」 등이 있다. 당산이나 풍수 설화 등은 발복 이야기와 맞물려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설화 유형들과 비슷한 양태를 보인다.

[전라북도 완주군의 인물 설화]

인물 설화는 전라북도 완주의 지역성과 설화를 누리는 민중 의식을 가장 잘 엿볼 수 있게 해 주는 유형이다. 전라북도 완주 지역과 관련된 김덕령, 이서구, 이성계, 전봉준, 정평구, 강증산, 전봉준, 권삼득, 기인 이거두리, 발산소씨, 김용담, 홍해술, 정여립, 진묵대사 등 다양한 역사적 인물들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인물 설화들은 사실(事實)을 기반으로 하여 점차 변형과 윤색과정을 거치며 설화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정여립, 이서구, 이거두리 같은 몇몇 인물의 설화들은 연속적이고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예컨대 정여립의 경우, 「정여립 역모가 발각된 이유」, 「정여립 죽은 얘기」, 「정여립의 배포와 담력」, 「정여립의 역적 모의」, 「정여립이 살던 곳」 등이 있다. 이서구의 경우, 「이서구를 돌려먹은 하인」, 「이서구의 예언」, 「힘이 센 이서구 선생」, 「이서구를 능가한 소금장수 도술꾼」, 「이서구보다 나은 도술꾼 우사출」, 「이서구가 절을 세 번 한 삼례」 등이 있다. 이렇게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몇몇 인물들에 대한 설화 분석을 통해 공식 역사에서 보여주는 인물의 평가와 다른, 전라북도 완주 지역민의 의식과 평가를 엿볼 수 있기도 하다.

[전라북도 완주군의 효 설화]

‘효’ 관련 설화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전라북도 완주 지역 설화 역시 상당수가 ‘효’ 모티프와 관련지어 전승되고 있다. 「효자 김용담」, 「하늘을 감동시킨 효녀」, 「며느리의 효행」, 「선녀와 나무꾼」, 「구씨 효자비」, 「기계 유씨 효자」, 「고려장 없앤 유래」, 「지렁이국 먹고 눈뜬 할머니」, 「밤 삶아 드려 효부 된 며느리」, 「강효자」, 「효자 호랑이」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