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780
한자 安東陶山書院典敎堂
영어공식명칭 Jeongyodang Hall in Dosanseowon Confucian School
영어음역 Dosanseowon Jeongyodang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도산서원길 154]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연표보기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보물 제21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보물 재지정
성격 서원|강당
양식 팔작지붕
건립시기/일시 1574년(선조 7)연표보기
정면칸수 4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도산서원길 154]지도보기
소유자 도산서원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도산서원 내에 있는 조선 중기 강당.

[개설]

도산서원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도산서원의 부속 건물인 전교당은 유생들의 자기 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는 강당이다. 이황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운영, 도산서당의 설립으로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전력하였다. 중종(中宗, 1488~1544), 명종(明宗, 1534~1567), 선조(宣祖, 1552~1608)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일본 유학의 부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위치]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번지[도산서원길 154] 도산서원 내에 있다. 낙동강에서 곡구암(谷口巖)을 끼고 들어서면 영지산(靈芝山)을 배산(背山)으로 동쪽은 천연대(天淵臺)이고, 서쪽은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이다. 도산서원은 아늑한 골짜기 안에서 안동호(安東湖)를 바라보며 자리 잡고 있다.

[변천]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은 1574년(선조 7) 건립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969년에 보수한 것이다.

[형태]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의 정면에 걸린 ‘도산서원(陶山書院)’이라는 편액은 당대 명필인 한석봉(韓石峯)의 글씨이다. 강당 앞마당에는 홍의재(弘毅齋)와 박약재(博約齋)로 이름 붙여진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마주하고 있는데, 유생들의 기숙사에 해당한다. 또한 건물의 기단 앞에는 높은 석주(石柱)에 반원형의 돌을 받쳐 놓았는데, 이것은 밤에 관솔가지들을 태우던 정료대(庭燎臺)이다.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집이다. 서쪽의 정면 1칸, 측면 2칸은 온돌방으로 ‘한존재(閑存齋)’라 이름을 붙였고, 나머지 정면 3칸, 측면 2칸은 우물마루로 된 대청을 만들었다. 온돌방의 전면에는 가운데설주가 있는 쌍여닫이세 살창을 설치하였고, 좌측면에는 각 칸마다 외여닫이세살문을, 벽장 좌측면에는 붙박이 광창을 달았다.

청방간(廳房間)에는 폭이 다른 사분합 들문을 두고, 방 뒤쪽으로는 벽장으로 통하는 외여닫이 미닫이문을 설치하였다. 대청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으나, 우측면과 배면에는 각 칸마다 둔테에 달린 쌍여닫이 판장문을 두고 문틀 중앙에는 가운데설주를 설치하였다. 쪽마루는 건물 배면의 대청 뒷부분과 온돌방의 좌측면에만 시설하였다. 화강석 장대석으로 축조한 기단 위에 자연석 덤벙 주초를 놓고 기둥을 세웠는데, 모두 각주를 사용하였다.

가구는 5량가의 민도리계이다. 대량 위에는 윗면이 사절된 동자주(童子柱)를 세워 종량과 중도리를 받았으며, 종량 위에는 안초공을 둔 복화반(覆花盤) 형식의 대공을 세워 장혀와 종도리를 받았다. 대청 상부는 연등천장(椽燈天障)으로 하였으나 외기 부분은 반자로 구성하였으며 온돌방은 고미반자로 처리하였다.

[현황]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1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2011년 현재 도산서원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