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2405
영어의미역 Jebiwon Temple Maitreya and Worship of House Guardian God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김호태

[개설]

성주는 집을 창조하고 지켜 주는 수호신으로 가족의 건강과 가족 간의 화목을 주는 동시에 집을 자연 재해, 화재, 인재 등으로부터 보호해 준다. 집이라 의미는 단순히 개별적 가정만을 의미하지 않고 그 이상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안동에서 말하는 ‘우리 집안’이라는 표현에는 가문, 문중이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즉 집이란 단어에는 씨족 공동체 또는 문화 공동체의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성주신앙은 어느 한 집안의 신앙이 아니라 한국 문화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안동의 제비원은 우리 가족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동시에 집을 창조하는 신의 고향이며 성지이다.

[제비원 미륵불]

제비원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원(院)이 있었다고 전해 오고 있다. 원은 고려시대에는 대부분 사찰에서 일반인들에게 포교를 하고 여행자들에게 자비를 베풀기 위해 만들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직접 여러 칸의 집을 지어 길손들이 편히 쉬게 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음식을 나누어 주고 떠돌이 병자들을 돌봐 주었던 곳이다.

자세한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는 없지만 제비원이라는 명칭도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어른들의 말에 따르면, 조선 말기까지도 제비원을 중심으로 보리고개까지 술집과 여각이 즐비했다고 한다. 이것은 제비원이 안동으로 들어오는 손님들이 머물렀던 곳에 자리 잡고 있었음을 증명하는 단서로 이해할 수 있다.

1. 제비원 미륵불

1) 형태

제비원 미륵불은 고려시대인 11세기경에 조성된 마애불(磨崖佛)로 안동시 이천동 태화산(太華山) 오른쪽 기슭에 있다. 공식 명칭은 안동 이천동 석불상(보물 제115호)이지만 안동 지역에서는 제비원 미륵불 또는 제비원 석불로 불리고 있다. 전체 높이 12.38m, 너비 7.2m의 암벽 위에 2.43m 높이의 머리 부분을 조각하여 얹어 놓은 입상이다.

머리의 뒷부분은 평면의 자연석을 그대로 두고 앞면만 얼굴을 조각하였다. 머리는 가운데가 높이 솟은 육계(肉髻)가 뚜렷하고, 얼굴은 인자하게 뻗은 긴 눈과 두터운 입술에 잔잔한 미소를 머금고 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몇 개 안 되는 주름은 매우 도식적(圖式的)으로 표현되어 있다. 양손은 검지와 가운뎃손가락을 맞대어 왼손은 가슴, 오른손은 배에 대고 있는 모습이다. 미륵불 바로 뒤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9호로 지정된 안동 이천동 삼층석탑이 있다.

2) 조성 시기

제비원 미륵불의 조성 시기는 고려 때로 추정된다. 제비원 조성 당시부터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일제강점기 초까지만 해도 미륵불 머리 위에 닫집이 있었다고 한다. 불상 어깨 부분에 닫집을 얹기 위해 세운 기둥 자리가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완전하지는 않지만 금당(金堂)의 구조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별히 인위적인 사찰 건축을 하지 않으면서도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불교적 세계관을 보여 줌과 아울러 전통 무속신앙인 성주신앙을 잘 드러내고 있다.

[성주신앙]

성주신앙의 형태는 상량신, 가옥신, 건축신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성주무가 ‘본풀이’를 근거로 보면, 성주신은 처음으로 집 짓는 법을 스스로 터득하고 사람들에게 집 짓는 법을 가르쳐 주는 목수의 신이다. 성주무가 ‘축원풀이’를 근거로 보면, 목수로서 집을 짓는 일보다 아내의 말을 귀담아듣고 아내의 존재를 소중하게 여기며 부부 간에 화목한 가정을 이끄는 가장의 신으로 등장한다.

성주민요나 지신밟기의 ‘성주풀이’를 보면, 성주는 곧 솔씨이자 소나무이다. 성주의 본향이 경상도 안동 제비원이라고 하는 이유도 제비원의 솔씨에 근거를 두고 있다. 제비원의 솔씨가 크게 자라서 재목감이 되고 성주목이 된 것이다. 또한 대목들이 이 산 저 산 찾아다니며 반듯한 소나무를 가려 성주목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성주신은 소나무의 신이도 하다. 그리고 좋은 성주목을 찾는 주체가 목수이기 때문에 목수의 신이기도 하다.

제비원 솔씨가 자라서 소부동(小夫棟)이 되고 소부동이 점점 자라 대부동(大夫棟)이 된다. 아름드리 재목감인 대부동이 곧 성주목이다. 그러므로 대목(大木)과 성주목, 성주신은 사실상 삼위일체의 존재이다.

대목이나 성주목, 성주신은 한결같이 집과 필연적 관련을 맺고 있는 존재이다. 대목은 집을 짓는 주체이며 성주목은 집을 짓는 가장 필수적인 자재이다. 그리고 성주신은 집을 지키는 신이다. 따라서 성주는 집집마다 깃들어 있다. ‘가지막에도 성주요, 와가에도 성주’라고 하였듯이 모든 집에는 성주가 있게 마련이다.

결국 성주는 솜씨 좋은 목수의 신이며, 성주목으로서 집을 짓는 재목에도 깃들어 있고, 상량신으로서 집의 구조물에도 깃들어 있다. 그런가 하면 가정을 화목하게 이끌어 가도록 가장을 지켜 주는 대주의 신이자 가정의 신이기도 하다. 즉 사실상 성주는 집을 짓는 사람, 집을 짓는 재료, 집의 구조물, 집에서 가정을 이루고 사는 사람 등과 두루 관련된 신이라 할 수 있다.

안동은 좋은 목재가 많았고, 좋은 목재로 집을 잘 짓는 훌륭한 목수들이 있었으며, 오래된 목조 문화재가 많이 있는 곳이다. 그리고 이들을 모든 재해로부터 지켜 주고 가족의 건강과 화목을 이끌어 주는 성주신앙의 중심이 되는 곳이 안동 제비원이다.

안동 제비원을 성주의 본향으로 보는 근거는 전설과 민요 등에서 일반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명한 목조 건축물과 대단한 목수들이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도깨비보다 더 훌륭한 목수가 지었다는 아흔아홉 칸 고성이씨 안동 임청각, 천하제일의 두 목수가 내기를 해서 지었다는 법룡사와 제비원 누각이 그 예이다.

제비원 누각은 안동의 지방지인 『영가지(永嘉誌)』에서 “아득하게 높다란 지붕 추녀가 마치 반공중에 나래를 편 듯하다.”라고 묘사할 정도로 대단한 건축물이었다. 이 제비원 누각을 지은 목수는 죽어서 제비가 되어 날아갔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이처럼 제비원의 목수를 신격화하고 있는 것은 제비가 추녀 아래서 집을 잘 짓는 것처럼 천하제일의 목수임을 형상화한 것이다.

또 안동의 이송천(二松川)과 송천(松川) 등 소나무와 관련되어 유래된 지명이 많고 마을마다 어귀에 소나무 숲이 많이 조성되었던 점은 그만큼 좋은 소나무들이 많았던 지역임을 반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로 알려진 봉정사 극락전을 비롯한 수많은 목조 문화재가 남아 있는 것도 이러한 여건이 갖추어졌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성주풀이와 제비원]

성주풀이는 무당이 가정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성주굿을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성주풀이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무당이 부르는 무가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지신밟기에서 부르는 덕담 형식의 노래다. 내용은 두 노래가 비슷하다. 먼저 성주의 본향이 안동 제비원이라는 점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어 제비원에서 솔씨가 마을에 날아들어 웅장한 소나무가 되었고, 이 소나무를 이용하여 집을 지었으니 매우 번창할 것이라는 것이 주된 줄거리이다.

무가나 민요를 비롯한 성주신앙과 관련된 대부분의 의식요에서 한결같이 안동 제비원이 등장하고 있는데, 성주풀이가 굿할 때 부르는 무가라는 점에서 종교적 신성성과 제의적 주술성을 갖기 때문에 고정적으로 전승될 수밖에 없다. 특히 사제자인 무당들이 전승한 노래라는 점에서 자의적으로 꾸며진 것이 아님이 분명하다.

[성주풀이에서 노래한 성주의 본향 제비원]

안동의 제비원이 성주신앙의 성지로 주목 받는 이유는 전국적으로 일반화되어 있는 자료의 보편성에 있다. 제주도에서 함경북도에 이르기까지 성주굿을 하거나 성주치성을 들이면서 성주풀이를 할 때 한결같이 안동 제비원을 성주의 본향으로 지정하여 노래하고 있다.

성주나 본(本)이 어드메냐/ 경상도 안동 땅의 제비나원이 본일넨데/ 제비원이다 솔씰 받아/ 서평 내평에 던졌더니/ 그 솔이 싹이 나…… (해주 지역 ‘성주굿’)

성주 본향 본을 풀면 게 어디가 본이신고/ 안동주 천제비원에 할나산이 보이신가/ 할나산에 들으스니 대부동이 서 있난데…… (서울 지역 ‘황제풀이’)

성주로다 성주로다 성주 근본이 어디멘고/ 경상도 안동 땅에 제비원에 파른 솔씨는/ 물 안에 던졌더니 그 솔이 점점 자라나야…… (목포 지역 ‘성주굿’)

성주 본(本)이 어디메뇨/ 경상도 안동 땅 제비원이 본일네라/ 제비원의 솔씨 받어 용문산에 던졌더니…… (군산 지역 ‘성주굿’)

성주로다 성주로다 성주 본향이 어드메냐/ 경상도 안동 땅에 제비조천이 본이라…… (평양 지역 ‘성주굿’)

성주근본이 으드매 성주 본향이 으드메/ 경상도 안동 땅 제비연의 솔씨를 받어서…… (고창 지역 ‘성주굿’)

성주 근본이 게 워딘가/ 경상도 안동 땅 제비원으 솔씨 받아…… (광양 지역 씨끔굿 ‘성주’)

성주님네를 모시자/ 성주 양반 모시자/ …… / 강남으로 들어가서/ 제비원에 숙소(宿所)하고/ 제비원에 솔씨 받아/ 경상도 안동 땅에 대명산천에 던졌더니…… (울진 지역 ‘성주굿’)

성주 본이 어디메뇨/ 중상도 안동 땅 제비원이 본일네다/ 제비원의 솔씨 받어 용문산에 던졌더니…… (군산 지역 ‘성주굿’)

[제비원에 얽힌 전설]

1. 연이 처녀

옛날 고창(지금의 안동)에 연이라는 아름다운 처녀가 살고 있었다. 당시 고창에는 길손이 묵어가는 제비원이 있었다. 원은 지금의 여관과 같은 곳으로 대개 절에서 운영하면서 허기진 길손에 음식을 주고 잠 잘 곳이 없는 사람을 재워 주거나 병이 든 길손을 고쳐 주기도 하였다. 행실이 착하고 예쁜 연이는 여덟 살 때부터 부모를 여의고 제비원에서 심부름을 하며 지냈다.

연이는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원에서 잔심부름과 빨래를 하면서 힘들게 지내면서도 곧바로 잠자리에 들지 않고 늦은 밤까지 열심히 글을 익히는 부지런한 처녀였다. 연이는 불심도 깊어 매일 이른 새벽에 일어나 제비원 미륵불 앞에서 기도를 올리며 하루를 시작하였고, 도량을 청소하고 정성을 다해 길손을 보살피기를 한결같이 하였다.

이웃 마을에 사는 부잣집 김 총각은 연이를 남몰래 사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김 부잣집은 마음씨가 포악하고 남에게 조금도 베풀 줄 모르는 인심이 고약한 집안이었고 김 총각 또한 그러하였다. 어느 날 인심 고약한 김 총각이 상사병을 앓다가 죽어 염라대왕 앞에 가게 되었다.

염라대왕은 겨우 김 총각의 이름을 찾아보고는 “너는 아직 올 때가 되지 않았는데 인간 세상에서 너무 몹쓸 짓을 많이 해서 일찍 오게 되었구나. 공덕(功德)이 좀 있으면 살아 돌아갈 수가 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고는 공덕을 쌓아 두는 저승 창고에 가 보니 연이 처녀의 창고에는 공덕이 많이 쌓였는데 김 총각의 창고는 텅 비어 있었다. 김 총각은 염라대왕에게 사정하여 연의 공덕을 빌려 쓰고 인간 세상에 내려가 재산을 갚기로 약속하였다. 다시 살아서 돌아온 김 총각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살아 돌아온 기쁨에 즉시 연이를 찾아가 그동안의 일을 이야기하고 약속대로 재물을 나누어 주었다.

연이는 갑자기 생긴 재물을 모두 부처에게 시주하였고, 그 재물은 제비원 누각 공사에 쓰기로 하였다. 누각은 5년이란 긴 시간을 들여 완공되었는데, 마치 제비가 날아가는 모양과 같았다고 한다. 그런데 법당을 짓던 마지막 날 기와를 얹던 와공이 잘못하여 높다란 지붕에서 떨어지니 온몸은 마치 기왓장이 깨진 것처럼 산산조각이 났고, 영혼은 제비가 되어 공중으로 날아올랐다.

그 뒤 연이도 선행을 베풀다가 3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영혼은 제비원에 깃들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이 절을 제비사[燕飛寺] 또는 연미사(燕尾寺)라 부르고, 연이 처녀가 살았던 곳을 제비원 또는 연비원이라 부르게 되었다.

2. 제비원 미륵불이여송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병 대장으로 온 이여송은 조선에 와서 싸움을 하기보다는 조선의 강산을 두루 둘러보면서 훌륭한 인물이 많이 날 만한 명당자리마다 쇠말뚝을 박아 혈(穴)을 끊었다. 하루는 전국을 돌아다니던 이여송이 말을 타고 제비원 앞을 지나게 되었는데 말의 발이 땅에 붙어 꼼짝하지 못했다.

이상히 여긴 이여송이 사방을 둘러보니 우뚝 서 있는 제비원 미륵불이 눈에 들어왔다. 이여송이 칼로 미륵불의 목을 쳐서 땅에 떨어뜨렸더니 미륵불의 목에서 피가 흘러 내렸다. 지금도 미륵불의 목 부위에는 목이 떨어질 때 흘린 핏자국이 있고, 어깨에는 말발굽 자국이 남아 있다고 한다. 당시에 한 스님이 땅에 떨어진 미륵불 머리를 제자리에 모시고 회를 발라 볼록볼록한 염주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전해 온다.

3. 제비원 미륵불을 조각한 형제

옛날 안동에는 솜씨 좋은 석공 형제가 살고 있었다. 형제는 세상에 최고의 석공은 두 사람이 있을 수 없다고 여겨 서로 솜씨를 겨루기로 하고, 이기는 사람만 남고 지는 사람은 이 세상을 떠나기로 하였다. 형제는 시간을 정해 놓고 미륵불 다듬기 내기를 시작하였다.

동생은 첫날부터 정신없이 돌을 구하고 정으로 미륵불을 열심히 다듬는데 형은 빈둥빈둥 놀기만 하였다. 그런데 놀기만 하던 형은 약속한 날이 되자 미륵불의 머리만 조각하여 큰 바위에 얹고 큰 바위에 가사 장삼을 그려 넣으니 훌륭한 부처가 완성되었다. 이것이 곧 제비원 미륵불로, 이로써 형이 이 세상 최고의 석공이 되었다고 한다.

4. 제비원법룡사 짓기 시합

옛날 안동에는 집을 잘 짓는 두 사람의 대목이 살고 있었다. 기술이 막상막하인 두 사람은 항상 집을 지을 때마다 최고 도대목 자리를 두고 다투곤 하였다. 하루는 두 대목이 최고의 목수를 가리기 위해 제비원 누각과 법룡사 법당 짓기 시합을 하게 되었다. 법룡사 법당을 짓는 목수는 다 지은 뒤 법룡사 현판을 달아 서기(瑞氣)를 제비원에 먼저 비추면 이기고, 제비원 누각을 짓는 목수는 한티재에 먼저 오르면 이기는 시합이었다.

제비원 누각을 짓는 목수는 열심히 일에 매달린 끝에 마침내 누각을 완성하고는 자신이 이겼다고 자신하며 급히 한티재에 올랐다. 그런데 이미 법룡사 현판의 광채가 눈부시게 빛나고 있다. 누각을 지은 목수는 패배를 깨끗이 인정한 뒤 세상을 떠나기로 마음먹고 제비원 누각에서 뛰어내렸는데, 홀연 제비로 변하여 훨훨 하늘로 날아올랐다. 이로부터 사람들은 이곳을 연비원(燕飛院) 또는 제비원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5. 통정대부가 된 소나무

성주풀이에는 “성주의 본향이 어디메냐?/ 경상도 안동땅 제비원이 본이로다/ 제비원 솔씨 받아/ 조평 어평 던졌더니/ 소부동(小夫棟)이 되었구나/ 소부동이 점점 자라 대부동(大夫棟)이 되었구나.” 하는 사설이 있다. 이 사설에 등장하는 대부동과 제비원 소나무에 얽힌 전설이 전해 오고 있다.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세조는 그 죄 때문인지 온몸에 악성 종양이 번져 좋다는 약은 다 썼지만 도무지 낫지 않았다. 말년에는 자신이 저지른 죄를 속죄하며 전국의 이름 있는 절을 찾아다니면서 시주를 하고 불공을 드리며 참회를 하며 보냈다.

하루는 오대산 월정사에서 경주로 가는 길에 안동의 제비원 앞을 지나는데 세조가 탄 수레가 소나무 가지에 걸려 움직일 수 없었다. 세조제비원 소나무가 자신의 죄를 꾸짖고 있다고 여겨 마음 깊이 속죄하고, 소나무에게 통정대부 벼슬을 내리고 붉은 띠를 둘러 주었다. 그러자 소나무가 가지를 서서히 들어 올려 어가가 지나갈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사람들은 이 소나무를 대부송으로 불렀다. 성주풀이에 나오는 대부동도 대부송에서 유래한 것이다.

6. 욱바우골 전설

제비원이 있기 이전에 사찰을 짓는다는 소식을 듣고 전국에 있는 큰 바위들이 다투어 모여들었다. 지금의 욱바우골에 있던 욱바우도 멀리서 이곳을 급히 찾아왔으나 그 자리에는 이미 많은 바위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게다가 욱바우가 원하던 자리는 현재의 미륵불이 앉아 있었으므로 욱바우는 울면서 지금의 욱바우골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이후 사람들은 제비원에 먼저 자리를 잡지 못한 것이 원통하여 울었다고 울바우라 불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욱바우가 되었고, 욱바우가 있는 골짜기를 욱바우골이라 부르고 있다. 이천동 제비원을 넘어가면 욱바우골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10.07 본문 내용 일부 수정 도깨비가 지었다는 아흔아홉 칸 고성이씨 종택 -> 도깨비보다 더 훌륭한 목수가 지었다는 아흔아홉 칸 고성이씨 안동 임청각
이용자 의견
김** 본문 성주신앙 7째 단락 내용 수정 요청

'도깨비가 지었다는 아흔아홉 칸 고성이씨 종택' 을
'도깨비보다 더 훌륭한 목수가 지었다는 아흔아홉 칸 고성이씨 안동임청각'
으로 수정 바랍니다.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집필자께서 주신 의견에 따라 해당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의견 개진에 감사드립니다.
2019.10.0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