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726
한자 金銅冠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민선례

[정의]

대구광역시의 지배층 무덤에서 출토되는 금동으로 만든 관.

[내용]

관은 삼국시대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였고 신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관은 재질에 따라 금관, 금동관, 은관, 동관으로 나뉘며, 전형적인 신라의 관은 금관과 금동관이다. 금관은 경상북도 경주시 지역에서만 확인되며, 금동관은 금관보다 출토량이 많은 것으로 보아 귀족이나 지방의 수장(首長) 등 소유층이 넓은 것으로 보인다.

관은 관테[대륜(帶輪)]에 세움장식[입식(立飾)]을 덧붙이고, 외면에 달개[영락(瓔珞)]와 곱은옥[곡옥(曲玉)]을 달아 장식하였다. 세움장식에는 나뭇가지 모양 장식[수지형 장식(樹枝形裝飾)]과 사슴뿔 모양 장식[녹각형 장식(鹿角形裝飾)]이 있다. 황남대총 남분이 축조되는 시기가 되면 세움장식이 ‘출(出)’ 자형인 관이 등장한다. 같은 시기 지방의 금동관은 사슴뿔 모양의 장식이 없고, 크기가 작은 점이 특징이다. 5세기 말이 되면 지방에서는 금동관의 크기가 커지며 사슴뿔 장식도 덧붙여진다.

대구광역시에서는 대부분 수지형 대관(樹枝形帶冠)이 출토되며, 대구 달성 고분군 37-2호분에서 2점, 달성 죽곡 산40유적에서 1점, 대구 문산리 유적에서 금동관 1점 등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