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702 |
---|---|
한자 | 全琫準-出生-崔水雲 |
영어음역 | Jeon-bongjunui Chulsaenggwa Choe-suun |
영어의미역 | Jeon Bongjun's Birth and Choe Suun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정훈 |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에서 전봉준과 삼암 선생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전봉준의 출생과 최수운」은 동학의 전봉준을 비롯하여 의암(義庵) 손병희(孫秉熙)[1861~1922], 송암(松庵) 손천민(孫天民)[?~1900], 구암(龜庵) 김연국(金演局)[1857~1944] 등 삼암(三庵) 선생에 관한 인물담이다. 「전봉준의 출생과 최수운」은 동학 농민혁명 당시 북접(北接)과 남접(南接) 간의 인식이 반영되어 있는 이야기로, 동학이 조직되고 분열되면서 겪게 되는 상황에 대한 민중의 입장을 엿볼 수 있다.
[채록/수집상황]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2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박동혁[남, 74]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전봉준은 천안전씨로 고창에서 태어났지만 고향인 고부로 와서 동학에 입교한 후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1824~1864]의 교조신원운동을 요구하며 전쟁을 시작하여 전주 고부 녹지사(綠持士)라는 말을 들었다. 최수운은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의 28세손이며 그의 제자로는 해월(海月) 최시형(崔時亨)[1827~1898], 손의암[손병희], 손송암[손천민], 김구암[김연국] 등이 있는데, 전봉준은 해월대사의 제자이다. 최수운이 죽은 뒤 김구암은 상제라고 칭하며 계룡산으로 갔고, 손의암은 천도교로 나갔으며, 손송암은 동학에 그대로 있었다. 이렇듯 수운교는 동학, 천도교, 상제교로 나뉘었다. 송암은 부안의 쉬운산에 교당을 마련했고, 구암은 계룡산으로 갔으며, 천도교에 사람이 가장 많다.
[모티프 분석]
「전봉준의 출생과 최수운」의 주요 모티프는 ‘동학 관련 인물의 활동’이다. 이 이야기는 동학에서 북접의 삼암이라 불리던 인물들의 행적을 중심으로 전봉준의 출생지를 언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