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462
한자 熊津城
영어음역 Ungjinseong
영어의미역 Ungjin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지도보기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정재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성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에 있는 공주 공산성의 백제시대 명칭.

[개설]

475년(문주왕 1) 고구려의 침입으로 수도였던 한성이 함락되자, 백제 문주왕은 웅진으로 천도하였다. 이후 538년(성왕 16) 백제 성왕사비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따라서 웅진에 도읍한 시기는 63년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웅진으로 도읍한 이유로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겠지만,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패한 것에서 비롯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고구려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지형적 요인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되었을 것이며, 차령산맥(車嶺山脈)금강이 막아 주는 웅진의 지리적 여건과 상통한다.

이러할 경우 도성은 방어적 속성을 지닐 수밖에 없으며, 웅진성을 백제의 유력한 추정 왕궁지로 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웅진성은 천도하기 이전에 이미 축성된 것으로 보기도 하나 천도 과정에서 축조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웅진성은 63년간 백제의 중흥을 이끈 도읍의 기능을 하였으며, 사비시대에는 북방의 중심성으로 자리하면서 백제시대의 군사·행정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백제 멸망 후에도 이러한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가 설치되었다.

[명칭유래]

웅진의 지명 유래에 관해서는 ‘곰나루’ 또는 ‘고마나루’라는 고유한 명칭이 행정구역으로 편입되는 과정에 웅진이라는 한자식 명칭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을 많다. 나루라는 명칭은 이 지역이 금강 변에 위치한 주요한 나루터였음을 나타낸다. 또한 곰 혹은 고마라는 명칭은 곰과 관련된 토템신앙을 가진 토착 세력 집단을 말해 준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백제의 남천 과정을 기술하면서 웅진을 ‘구마나리(久麻那利)’로 표현하고 있어, 웅진이 곰나루 또는 고마나루에서 유래한 것임을 확인해 준다.

[형성 및 변천]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웅진’이라는 명칭은 한성 함락에 이은 백제의 천도에 대한 설명에서 처음 보인다. 웅진에 도읍이 정해지면서 웅진성에 왕궁이 위치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후 478년(삼근왕 2) 모반한 해구(解仇)의 식솔을 ‘웅진시(熊津市)’에서 처형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웅진시는 웅진의 저잣거리임을 나타내주기 때문에 이 무렵 웅진이 임시 수도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도읍지로서 점차 자리 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웅진성’이라는 명칭은 『삼국사기』백제본기의 526년(성왕 4) 성곽 수즙(修葺) 기록과 관련하여 처음 등장한다. 이때의 기록이 성곽을 수리하는 내용이므로 적어도 그 이전 시기부터 웅진성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크다 하겠다. 이후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멸망하면서 웅진부성이라는 명칭도 보이며, 이곳에는 웅진도독부가 설치되어 당의 한반도 정책의 전진 기지 역할을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熊川州)가 설치되면서 웅천성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여전히 웅진성이라는 명칭이 병기되고 있다. 고려 초에 이르러 웅천 또는 웅주의 지역명이 ‘공주’로 개칭되면서 공주산성 또는 공산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조선 인조는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 공주 공산성에 피난하기도 하였으며, 이후 쌍수산성(雙樹山城)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성의 구조는 석축 약 1,810m, 토축 약 735m로 추정되며, 퇴뫼식 산성과 포곡식 산성이 결합된 복합식 산성이다.

[위치비정/행정구역상의 구분]

웅진성은 한성 함락 후 고구려와의 대치 국면에서 고구려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차령산맥과 계룡산지(鷄龍山地) 사이를 가로질러 흐르는 금강의 남쪽에 위치한 천연적인 요새지에 위치하였다. 고구려가 남침할 경우 일차적으로 차령산맥이 중요한 방어선이 되지만, 이 방어선이 무너질 경우 금강 또한 기병인 고구려군의 도하를 막아낼 수 있는 유리한 지형이다. 아울러 금강을 통한 조운과 통제가 가능하여 수도로서의 기능을 하기에도 적합한 곳이다. 웅진성은 행정구역상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 일대에 해당한다.

[관련기록]

웅진성과 관련된 기록은 『삼국사기』에 웅진 천도와 함께 등장하고 있다. 475년인 문주왕 원년조에 “겨울 10월에 웅진으로 도읍을 옮겼다(冬十月移都於熊津)”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사비 천도 이전의 웅진에 대한 기록은 대체로 웅진성이 아닌 웅진으로 표현되고 있다. 사비 천도 이후 526년(성왕 4) “겨울 10월 웅진성을 수즙하였다(冬十月修葺熊津城)”라는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웅진성이라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주서(周書)』이역전 백제조에는 “지방에는 다시 5방이 있으니, 중방은 고사성, 동방은 득안성, 남방은 구지하성, 서방은 도선성, 북방은 웅진성이다.(其外更有五方 中方曰古沙城 東方曰得安城 南方曰久知下城 西方曰刀先城 北方曰熊津城)”라고 기록되어 있어, 사비 천도 이후에도 웅진성이 북방의 주요 거점성으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구당서(舊唐書)』백제조에는 “인덕 2년(665년) 8월에 부여융웅진성에 이르러 신라 왕 법민과 백마를 잡아 놓고 맹약하였다.(麟德二年 八月 隆到熊津城 與新羅王法敏刑白馬而盟)”라고 기록되어 있어 백제 멸망 후에도 웅진성과 웅진 지역이 당의 백제 고지 지배를 위한 중심 역할을 하였으며, 웅진도독부 체제의 구축은 이를 분명하게 보여 준다. 이 밖에 『신당서(新唐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당회요(唐會要)』, 『책부원귀(冊府元龜)』에도 이와 유사한 내용으로 웅진성이 서술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