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1887 |
---|---|
이칭/별칭 | 구정,원일,원단,세수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집필자 | 박종오 |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음력으로 정월 초하룻날에 행하는 세시 풍속.
[개설]
화순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을 새해가 시작되는 첫날로 ‘설’ 또는 ‘구정(舊正)’이라고 한다. 설날을 한자로는 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라고 쓰는데, 모두 새해의 처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설날을 시점으로 새로운 해가 시작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행동거지를 조신하게 하여 하루를 보내게 된다.
[연원 및 변천]
언제부터 설이 우리나라의 명절이었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중국의 역사서인 『수서(隋書)』와 『구당서(舊唐書)』에 신라인들이 “매년 정월원단(正月元旦)에 서로 경하하며, 왕이 연희를 베풀고 여러 손님과 관원들이 모인다. 이날 일월신(日月神)을 배례한다.”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에서 설 명절의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설이 역법 체계에 따른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전부터 설 명절에 대한 관념이 존재했을 것이라 추정해 볼 수 있다. 지금도 화순 지역에서는 음력으로 쇠는 설을 추석과 함께 가장 큰 명절로 여기고 있다.
[절차]
화순 지역에서 설날에 주로 행하는 내용을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설빔
설날이 가까워 오면 집집마다 살림 형편에 따라서 설빔을 장만했는데, 살림이 넉넉한 집에서는 비단이나 명주로 도포, 두루마기 등을 정성껏 장만하였다.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색이든 옷감에 솜을 넣어 새 옷을 만들어 주었는데, 이를 ‘깐치[까치] 저고리’라고 한다. 그러나 보통의 집에서는 무명옷을 해 입혔다.
2. 차례
설날 아침에 세찬(歲饌)과 세주(歲酒)를 마련하여 사당이나 대청에서 제를 올렸다.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양곡리 단양 마을이나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용호 마을에서는 동이 트기 전인 보통 새벽 4~5시경에 큰집에서 4대조까지 모시고 차례를 지낸다.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연양리 양촌 마을에서도 새벽 4시쯤에 차례를 지내는데, 그믐날 밤에 모시는 집안도 있다. 세찬은 집안 형편에 따라 정성껏 장만하는데, 메밥 대신 떡국이 올라가며 단배(單拜)로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춘양면 양곡리 단양 마을의 경우에는 일반 제사 때와 똑같이 삼헌을 행하기도 한다. 떡국에는 닭고기가 주로 들어가나 근래에 와서는 소고기를 많이 넣고 있다.
3. 세배
차례가 끝나면 세배를 올리는데, 조부모에게는 방 안에서 절을 드리고, 부모에게는 방 밖에서 절을 드린다. 이는 자신을 낳아준 부모가 더 크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후 일가친척과 마을 어른들을 찾아 세배를 드리는데, 이서면 야사리 용호 마을의 경우는 초닷새 안에 돌아다니면서 세배를 올린다. 한편,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산간리의 경우처럼 마을 어른들을 집집마다 일일이 찾아뵙지 않고 공동으로 세배를 올리는 곳도 있다.
4. 덕담과 음식 대접
세배를 하면서 주고받는 말을 덕담이라고 한다. 주로 “과세 편안하셨습니까?”, “올해는 만사형통하게” 등 그해에 모든 일이 잘되기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세배객을 위해 음식을 장만해 대접하는데, 신분상의 차이나 노인들이 있고 없음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정성껏 준비한다. 옛날에는 집에서 청주나 탁주를 담갔으나, 일제 강점기 때 밀주 단속이 심해지면서부터 주조장에서 담근 술을 사다가 썼다. 세주는 데우지 않고 찬술을 그대로 마시는데, 여기에는 봄맞이의 뜻이 담겨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집에서 차례 상을 차릴 때는 성주가 가장 높은 신령이라고 여겨 성주 상을 먼저 차린다. 성주 상은 차례 상 오른편에 차리는데, 차례 상에 올리는 음식을 그대로 올린다. 춘양면 양곡리 단양 마을이나 이서면 야사리 용호 마을에서는 삼신상[지앙상]을 차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성주 상보다도 더 먼저 차린다. 지앙에 올리는 제물은 상에 차리지 않고 방바닥에 몇 가닥의 짚을 깔고 그 위에 물, 밥, 미역국을 놓는다.
예전에는 정월 초하루부터 초사흗날까지는 여자들이 남의 집에 가면 그 집에 재수가 없다고 하여 초사흗날이 넘어서야 떡국을 끓여 친척집에 세배하러 다닐 수 있었다.
화순읍 연양리 양촌 마을에서는 아홉수가 들면 좋지 않기 때문에, 아홉수가 든 나이에 맞이하는 설은 집에서 잠을 자지 않고, 동네 사랑방이나 남의 집에 가서 잠을 자고 들어왔다. 비록 잠은 남의 집에서 자지만 설 차례는 새벽 일찍 집에 와서 지냈다. 춘양면 양곡리 단양 마을에서는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꿩이 우는 소리를 들으면, 그해 가물다고 여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