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232
한자 新聞
영어음역 Sinmun
영어의미역 Newspaper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문교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발간되는 시사적인 뉴스나 정보·오락·광고 등을 제공하는 정기 간행물.

[개설]

신문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인 정의는 광의의 신문과 좁은 의미의 신문으로 구분하고 있다. 광의의 신문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서 신문사라는 조직체가 뉴스나 정보를 수집·처리·제작하여, 신문지라는 대중 매체를 통해 독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제공, 그들의 정신적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그 대가를 받는 공공성과 기업성을 함께 지닌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좁은 의미의 신문은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하나인 신문지를 말한다. 즉 신문지란 대중들에게 관심이 있는 시사적 내용의 뉴스나 정보를 기계적 방법으로 복제하여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정기적이고 계속적으로 발행하는 간행물을 말한다.

[종류]

신문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먼저 발행 간격에 따라 일간지·주간지·일요지·주2회간지·격주간지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일간지는 다시 조간지와 석간지로 구분한다.

배포 범위에 따라 전국지와 지방지, 발행 목적에 따라 상업지와 기관지, 대상 독자들의 관심 영역에 따라 종합지와 전문지, 사용 언어에 따라 모국어지와 외국어지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독자들에게 유료로 배포하느냐 또는 무료로 배포하느냐에 따라 유가지와 무가지, 발행 부수에 따라, 대규모 신문(발행부수 25만 부 이상), 중소규모 신문(발행부수 5만~10만 부), 소규모 신문(발행부수 5만 부 이하)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밖에도 해외에서 교포들이 발행하는 교포지, 등록하지 않고 발행하는 지하신문과 기존 신문들에 대항하기 위해 발행하는 대안신문 등으로 분류된다.

[특성과 기능]

신문의 특성은 발행의 정기성, 기계적 복제성, 대중의 접근성, 내용의 다양성과 시의성, 발행의 계속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밖에도 현실성·공시성·기록성 등과 비제본성을 들고 있고, 예독 가능성, 재독 가능성, 선별적 접근성, 무제한성도 신문의 특성으로 제시되고 있다.

신문의 기능은 다양하게 설명되고 있으나 주요 기능은 크게 네 가지로 보도 기능, 지도 기능, 오락 기능 및 광고 기능을 들 수 있다.

[변천]

1. 해방 이후의 신문

1945년 일제의 식민통치가 종식되고 미군정의 언론 자유 보장에 대한 기본 정책이 발표되자 전국적으로 수많은 신문들이 창간되었다. 제주 지역에서는 해방 후 최초로 민간신문·잡지가 발행되기 시작하여 지방 언론의 토대를 형성해갔다.

제주 지방 언론 사상 최초의 지방신문은 『제주신보(濟州新報)』로, 해방 직후인 1945년 10월 1일 제호 『제주민보(濟州民報)』로 창간되었다. 용지난이 겹치고 인쇄 시설이 불비한 가운데서도 제주에서 지방지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제주도민들의 언론 인식도가 높았고, 일부 언론인들이 신문 제작 기술을 습득하고 있었던 데 기인했다.

정부 수립 후 자유당 정권은 언론정책 7개항을 발표하고, 자유당 노선에 반대하는 언론을 탄압하거나 기존 신문을 폐간, 처분했다. 그러나 자유당의 정권 유지에 동조하는 신문은 신규 허가를 내주었다.

제주에서는 1950년대 보수 성향의 신문들이 창간되어 지방지 경쟁시대를 열었다. 격일간 『탐라신보(耽羅新報)』(1952. 8. 21 허가), 주간 『영주시보(瀛州時報)』(1953. 10. 23 허가)와 『제민시보(濟民時報)』(1956. 4. 24 허가)가 창간하였다.

이어 재향군인회 기관지 『제향시보(濟鄕時報)』(1959. 10. 허가), 『재건(再建)타임스』 제주판 등도 자유당 말기에 발행되었다.

2. 1960년대의 신문

1960년 4·19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무너지고, 제2공화국이 수립되자 언론정책은 ‘언론의 자유를 제한 없이 보장한다’는 방침이었다. 같은 해 7월 1일 허정(許政) 과도정부는 법률 제553호로 ‘신문 등 및 정당 등의 등록에 관한 법률’을 공포하여, 정기간행물의 등록제를 단행함으로써 군정법령 제88호에 의한 신문 및 정기간행물에 대한 허가제는 철폐되었다.

언론 자유가 보장되자 사회에는 아무런 시설도 없이 간판만 내건 신문사와 사이비 언론인이 쏟아졌다. 제주 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식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신문들이 우후죽순처럼 쏟아졌고, 납본조차 제대로 발행하지 못하는 신문사도 있었다.

4·19 이후 제주 지역에서 창간한 신문은 일간지 『제주해일신문(濟州每日新聞)』(1961. 3. 1 창간), 주간지 『의회보(議會報)』(1960. 12. 5 창간)를 비롯하여 『한라신문(漢拏新聞)』(사장 김상근, 편집국장 김동일)·『제주평론(濟州評論)』(발행인 김인섭, 편집국장 방명훈)·『탐라민보(耽羅民報)』(편집부장 문상률)·『민정신문(民政新聞)』·『항도신문(港都新聞)』·『제주통신(濟州通信)』·『제주공론통신(濟州公論通信)』 등을 열거할 수 있다.

4·19 이후 보장되었던 언론 자유는 1년 만인 1961년 5·16군사쿠테타로 말살되고 새로운 언론 규제 정책이 시행되었다. 군사정부는 포고 1호와 계엄사령부의 검열 방침을 통해 언론 활동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5월 23일에는 포고 제11호를 발표하고 신문·통신을 비롯한 정기간행물의 일제 정비를 단행했다. 이러한 언론정책에 따라 전국적으로 정비된 신문·통신사는 834개였다. 제주 언론계도 예외일 수 없이 언론 정비 바람이 강하게 불었다.

같은 해 5월 28일 현재 제주도에서 국가재건최고회의 공보령 제1호에 따라 폐간된 신문·통신은 일간지 2개, 주간지 9개, 통신 2개였다. 언론 정비 과정에서 일간지 『제주신보』가 존속되고 일간지 『제민일보』는 폐간되었다가, 같은 해 12월 7일 복간되어 발행이 재개되었다.

두 일간지는 군정의 방침에 따라 통합되었는데, 1962년 11월 20일 제호를 『제주신문(濟州新聞)』으로 한 뒤 『제주신보』의 지령을 이어 총 5,302호로 통합 첫 호를 발행했다.

『제주신문』이 제주 지역의 유일한 신문으로 발행되던 1967년 8월 10일 주 2회 발행인 주간 『제남신문(濟南新聞)』이 창간되어, 1980년 언론 통폐합 때까지 발행되었다. 『제남신문』은 일간으로 추진하였다가 좌절되어 주간으로 창간했다.

‘신문통신 등의 등록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신문 발행이 등록사항으로 되었으나, 실질적인 운용은 허가사항처럼 경직되어 있었다. 새로운 신문 등록을 극도로 제한했던 제3공화국에서 주간신문 발행이 허용된 것은 의외였다.

3. 1980년대 이후의 신문

권력의 진공 상태에서 수립된 제5공화국의 언론정책은 권위주의적이었다. 신군부 세력은 1980년 11월 14일 형식상 신문협회와 방송협회의 ‘건전 언론 육성과 창달을 위한 결의’를 통해 자발적인 형태를 띤 언론 통폐합을 단행했다. 언론 통폐합은 한국 언론사상 최대의 미디어 산업 재편이었다.

지방은 1도(道) 1사(社)의 원칙으로 신문을 통폐합했다. 제주에서는 『제주신문』 경영진이 교체되었고, 주간지 『제남신문』이 폐간되었으며, 중앙지 주재 기자들을 철수시키는 한편 연합통신 제주지사가 설립되었다. 이와 함께 제주에서 언론인 50여 명이 강제 해직되었다.

언론 자유가 극도로 제한되었던 제5공화국에 이어 1988년 제6공화국이 출범하자 언론 정책은 6·29선언의 정신에 따라 자율 언론 체제를 보장했다.

「언론기본법」이 폐지되고, 언론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기간행물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정기간행물의 발행이 실질적인 등록제로 시행되자 인쇄매체는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제주 지역에서는 일간지 『한라일보(漢拏日報)』(1989. 4. 22 창간)와 『제민일보(濟民日報)』(1990. 6. 2 창간)가 잇달아 창간되어 일간지 정립시대를 열었다. 1990년대 제주 지역에는 일간지뿐만 아니라 주간지·특수지·잡지 등 활자매체가 수없이 창간과 폐간을 반복하며 부침을 계속했다.

또한 주간지로 창간(1999. 3. 30)한 『제주타임스』가 일간지(2004. 3. 30)로 전환하여 제주 지역 언론사상 처음으로 4개 일간지가 병존, 경쟁하기에 이르렀다.

[현황]

제주 지역의 신문은 간별로 보면 일간지와 주간지, 주 2회 간지가 있고, 대상 독자에 따라 일반 종합지와 특수지가 있다. 최근에는 뉴미디어로 호칭되는 인터넷 신문도 등장했다.

2006년 12월 현재 제주 지역의 신문 현황을 보면 종합 일간지로 『제주일보』·『한라일보』·『제민일보』·『제주타임스』가 있고, 특수 일간지로 『생활정보지 오일장』·『교차로』·『서귀포 오일장』·『서귀포 교차로』가 있다.

일반 주간지로는 『서귀포남제주신문』이, 전문 주간지로는 『제주관광신문』이, 특수 주간지로는 종교 신문인 『제주불교』·『제주기독교신문』, 경마신문으로는 『한라경마』·『탐라경마』·『경마월드』·『애마신보』·『제주경마』·『서부경마』·『제주승전보』·『제주명승부』가 있다.

부동산 신문으로는 『제주부동산』·『이엔시경매신문』·『주간경매』 등이 있고, 그밖에 인터넷 신문으로 『제주투데이』, 『제주의 소리』, 『미디어제주』, 『이슈제주』, 『뉴스제주』, 『제주포커스』, 『서귀포인터넷일간신문』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제주 지역은 인구 55만 명으로, 독자의 한계성과 경제 규모의 왜소함으로 인해 언론 산업이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3차 산업 중심으로 구축된 경제활동으로 인해 광고시장도 빈약하여 신문의 광고 개척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경쟁매체의 범람으로 광고 유치 경쟁은 치열하다. 제주도 내 정기간행물은 일간지 4개를 비롯하여 69종이 등록되어 있고, 인터넷 신문 7개사가 신규 등록되어 광고 수입에 의존한 신문사 운영은 전망이 밝지 않다.

또한 신문사마다 금융 부채를 지고 있어서 무거운 금융 비용을 부담함으로써 운영난을 겪고 있다. 따라서 사원들에 대한 대우 또한 빈약하여 언론인들의 이직이 심하다.

최근 들어 방송통신 융합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신문 구독자가 감소하는 것도 신문 경영의 위협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제주 지역 신문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신문사의 경영난 타개가 선결 과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