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1249 |
---|---|
한자 | 貯水池 |
영어음역 | jeosuji |
영어의미역 | reservoir |
이칭/별칭 | 둠벙,방죽,소류지,못,제언,제방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철웅 |
[정의]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농업용수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인공 수리 시설.
[개설]
원래 저수지는 조선시대 이전에는 막연하게 제언(堤堰)이라 불렀으나, 수리시설의 기능이 분화되면서 최근에는 보(洑)·방조제(防潮堤) 등과 구분하여 저수지라 부르게 되었다.
저수지는 하천 다음가는 중요한 지표용수원으로, 하천보다 시설비가 많이 들고 수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풍부하고 계획된 수량을 확보할 수 있고 수온도 알맞기 때문에 농업용수로 많이 이용된다.
저수지 축조에는 우선 지형적으로는 집수유역(集水流域)이 크고 지질이 불투수성 점토질층이나 암반이 있어 침투와 누수가 없는 산간계곡이 가장 좋으나 평야지대에도 적당한 지형이 있다.
[현황]
진도군은 섬으로 이루어져 하천이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다. 하천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계류와 지류로 길이가 길지 않으며 바다와 면하고 있다. 또한 진도의 강수량은 1200㎜ 정도이지만 계절적, 지역적 편차가 커서 농경이 일찍 발달하였으나 농업상 치수에 불리하였다. 이러한 자연조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진도에는 크고 작은 규모의 인공 수리 시설을 많이 만들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벼농사의 발달과 더불어 발전되어 온 진도의 저수지는 역사적으로 기록된 곳은 없으나 가장 규모가 큰 사천리의 사천저수지를 중심으로 크고 작은 규모의 수원이 현재에도 이용되고 있다.
진도지역에 있는 저수지의 특징을 보면, 하천의 계류나 지류를 막고 둑을 쌓아 규모가 대체로 큰 편이며, 저수지 아래 지역을 몽리면적으로 하고 있다. 기타 간척지는 방조제를 막은 다음 하구역을 막거나 유수지를 두어 그 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첨찰산과 여귀산을 끼고 있는 지역에는 제방을 축조한 저수지가 많이 분포한다. 구릉성 산지나 평지에서는 둠벙과 방죽이 많이 분포한다.
1. 분포 현황
현재 진도군에는 고군면 23개, 군내면 12개, 의신면 20개, 임회면 20개, 지산면 22개, 진도읍 8개로 총 105개의 저수지가 있다. 각 면별로 나타나는 저수지(둠벙·방죽·소류지 포함)를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1]저수지 현황
다음으로 저수지와 관련한 수리시설 현황을 저수지, 양수장, 관정, 기타로 나누어 살펴보면 (표 2)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2]수리시설 현황
[의의와 평가]
진도의 저수지와 경지면적에서 중·대규모 저수지 시설 지구 외 경지면적은 대구획 재정비 및 일반경지 정리사업 시행 시 배수로를 확장하여 담수지를 병행토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용수 확보를 도모해 나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