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112
한자 交通
영어음역 Gyotong
영어의미역 Transpor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운식

[정의]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주요 도로, 교통 수단 및 관련 시설.

[개설]

용인시의 교통은 1970년대 이전까지는 철도와 자동차가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자동차 교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주요 교통기관은 자가용과 버스이다. 버스는 공용버스·일반버스·직행버스·마을버스·시외버스 등이 있다.

버스 노선을 보면 2008년 11월 현재 국비공영버스가 3개노선, 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용버스 27개 노선, 개인이나 단체가 운행하는 일반 버스 40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서울과 용인을 운행하는 직행버스 39개 노선, 간선 급행버스가 9개노선, 동일 구역 내를 운행하는 마을버스 36개 노선, 대구를 비롯한 전국 43개 지역과 용인을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있다. 고속버스는 서울, 부산, 광주 3개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용인시의 미래교통은 자동차 교통, 경전철 그리고 도시철도가 담당할 것이다. 도시철도는 분당선 연장 복선전철과 신분당선 연장 복선전철이 개통되었다. 용인 경량전철은 2009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그리고 용인 지역의 인구 폭증으로 기흥구 영덕동에서 수지구를 지나 서울 양재까지 가는 고속국도도 개통되었다.

[변천]

용인시는 경기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조선시대에는 삼남대로의 주요 통과지점으로 구흥과 김량장에는 역이 있었다. 특히 김량장은 수원~여주, 경안~안성을 연결하는 도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당시의 수송기관은 말과 우마차였다.

1909년 수원~이천 간의 신작로가 개수되면서 수원과 용인 간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1915년에는 수원~용인~여주, 서울~용인~장호원, 김량장~죽산, 김량장~오산 간 8인승 승합자동차가 운행되었고, 1929년에는 수원~용인~여주, 김량장~죽산, 김량장~오산 간의 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1930년에는 수원과 용인 간의 수여선의 일부가 개통되었고, 다음 해에는 전 구간 73.4㎞가 개통되었다. 1932년에는 김량장~경안, 김량장~고당 간의 도로가 개수되었고, 1936년에는 서울~김량장, 양지~죽산, 김량장~광주, 김량장~오산 간의 도로가 개수되었다. 그리고 안성선이 개통되면서 안성선과 수여선을 연결하는 시외버스가 운행되었다.

용인의 자동차 교통이 발달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전쟁 이후 기흥~남사, 광주~용인, 용인~진천, 용인~평택, 용인~백암, 백암~안성, 송전~오산 간의 도로가 개수된 이후이다. 1960년 당시 용인에는 국도 29㎞, 지방도 149㎞로 도로 개발이 빈약하였다. 1960년대 초 용인에는 자동차 10대 정도가 등록되어 있었다.

경제 개발 계획의 성공으로 1968년 경부고속국도의 용인 구간이 개통되고 1971년 영동고속국도의 용인 구간이 개통되면서 도로 총연장이 225㎞로 늘었다. 그리고 1972년 수여선이 폐지되면서 용인은 도로 교통 체제로 바뀌었다.

뒤이어 도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로 포장이 진행되면서 1970년대 말에는 차량이 1000대로 늘었고, 1980년대에는 서울 주재 대학의 분교 설립과 대학의 신설 등으로 서울~용인 간의 통학버스가 운행되면서 용인과 인근 도시 간의 버스 운행이 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서울의 인구분산으로 서울과 용인 간의 도로의 확장, 도로의 신설로 서울 지역으로의 통근인구는 물론 서울에서 용인으로의 통학 인구가 늘어 러시아워에는 인근 도시 간의 교통 체증이 매우 심각하다.

[현황]

용인시는 동북쪽의 광주산맥과 동남쪽의 차령산맥이 지나는 잔구상에 위치하여 낮은 구릉이 많다. 따라서 도로망은 계곡을 따라 발달할 수 밖에 없어 도로망이 매우 불규칙하다. 또 산지 계곡을 따라 신갈천·경안천·정미천 등 군소 하천이 시 전 지역을 흐르고 있어 교량이 많다.

용인시를 지나는 도로는 고속국도·일반국도·국가지원지방도·지방도·시군도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국도 42호선국도 45호선용인시청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뻗고 있다. 그리고 동서 방향의 영동고속국도가 시 중심부를 지나고 남북 방향의 경부고속국도가 시의 서부 지역을 지나고 있는데 이들 도로는 용인과 서울 간 교통량 흐름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밖에 청주시와 용인시을 연결하는 국도 17호선백암면에서 서북진하여 양지면에서 국도 42호선에 흡수되고 수지구 풍덕천동에서 북동진하는 국도 43호선모현읍 동림리를 지나 광주로 진입한다.

남북 방향의 국가지원지방도는 경부고속국도와 나란히 남북 방향으로 지나는 국지도 23호선, 원삼면 옥산리에서 북진하여 용인 중심지를 지나 북진하여 모현읍 일산리를 지나는 국지도 57호선 등이 있다. 동서 방향의 국가지원지방도는 남사면 북리에서 동진하여 이동읍 송전리에서 국도 45호선에 합류하는 국지도 82호선, 이동읍 서리에서 동진하여 처인구 운학동에서 국지도 57호선에 합류하는 국지도 84호선, 처인구 마평동에서 시작하여 양지면 정수리를 지나 이천시로 가는 국지도 98호선이 있으며 국지도 70호선은 백암면 남동부를 서남-북동진하고 있다.

남북으로 관통하는 지방도 321호선남사면 원암리에서 북진하여 모현읍 일산리를 지나고, 동서로 관통하는 지방도 318호선은 이동읍 서리에서 동진하여 백암면 고안리를 지나고 있다. 그리고 지선과 지선을 연결하는 보선의 역할을 하는 지방도 315호선은 국도 1호선과 지방도 321호선기흥구 서천동상하동에서 연결한다. 지방도 314호선은 국도 1호선과 국도 45호선남사면 진목리이동읍 어비리에서 연결한다.

또한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지방도 317호선은 화성시와 기흥구를, 지방도 310호선은 오산시와 남사면을, 지방도 325호선은 백암면 지역의 남북을 연결시켜준다. 보선의 역할을 담당하는 시군도 10호선국도 42호선국도 45호선을 연결하고, 시군도 12호선은 국도 42호선영동고속국도를, 시군도 5호선은 국지도 23호선국도 42호선을, 시군도 9호선은 국지도 23호선국지도 82호선을, 시군도 17호선은 국도 17호선국지도 57호선을 연결하고 있다.

이밖에 시군도 1호선, 2호선, 3호선, 7호선, 13호선, 14호선, 15호선, 16호선, 19호선, 25호선은 동일 지역 내의 소통을 담당하고 있으며 시군도 27호선, 29호선은 인접 구와의 소통을 담당하고 있다. 도로 시설물인 교량은 처인구에 124개, 기흥구에 38개, 수지구에 24개 등 모두 186개이다

용인 지역의 자동차 교통은 1960년대 이후 서서히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1960년대 초 용인에는 화물차 3대, 승용차 6대가 운행되었으나 고속국도의 개통과 도로의 포장 등으로 도로 사정이 개선되고 경제가 발전하면서 1970년대 초에는 50여 대의 자동차가 운행되었다.

1980년대 들어 마이카 시대가 오고 계속적인 도로의 확장과 포장 등으로 도로 사정이 개선되면서 용인의 자동차는 10,000대로 증가하였다. 1990년대 이후 계속적인 인구의 유입으로 인구가 폭증하고 경제사정이 개선되면서 자동차수가 늘더니 2006년에는 자동차가 30만 대로 증가하였다. 전체 차량 중 승용차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용인시의 도시철도는 분당선 연장 복선전철이 죽전을 지나 신갈을 거쳐 상갈까지 운행될 예정이며 총 19.5㎞로 2013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2004년 11월에 보정역이 2007년 12월에 죽전역이 각각 개통되었다. 용인 경량전철은 구갈에서 시작하여 용인시청을 지나 고진에서 북진하여 용인 에버랜드까지 가는 철도로 길이가 18.5㎞이며 2009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또한 신분당선 연장 복선전철은 분당 정자에서 수지를 거쳐 광교까지 연결되는 1단계 11.90㎞가 2014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13 행정지명 현행화 모현면에서 모현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2011.03.11 [개설]수정 현재 현황에 맞춰서 개설 내용 수정 및 전철역 개통 사항 추가 작성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