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256 |
---|---|
한자 | 海東地圖 大丘府地圖 |
영어공식명칭 | Map of Daegu-bu in Haedongjid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명환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8년 12월 22일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로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6월 29일 - 『해동지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소장처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성격 | 지도 |
권책 | 8책 |
규격 | 47.0×30.5㎝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해동지도』] |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대구도호부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해동지도(海東地圖)』 「대구부지도(大丘府地圖)」 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해동지도』[古大4709-41] 8책 중 제5책에 수록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370종의 회화식 지도를 수록한 관찬(官撰) 군현지도책이다. 수록된 군현지도의 내용은 대체로 1748년에서 1750년까지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고, 일부 군현지도에 비변사지도를 참조하였다는 쪽지가 첨부되어 있어 1750년대 초에 비변사에서 제작한 지도를 참고하여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해동지도』 「대구부지도」 의 크기가 세로 47.0㎝, 가로 30.5㎝이다. 지도의 여백과 이면에 주기(註記)가 기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해동지도』 「대구부지도」 의 읍치에는 객사, 감영, 중영, 진영, 이아 등이 있다. 읍치 북쪽에는 여단이 있는 침산, 동쪽에는 향교, 남쪽에는 성황단이 있는 연구산과 망신정·교장, 서쪽에는 읍북정·달성·사직단·남소(南沼)가 있다. 도로는 적색 실선으로 표시하였는데, 감영에서 신녕·하양·경산·청도·밀양·창녕·무계역·성주·칠곡으로 연결되어 있다.
방리는 동상, 동중면, 서상, 서중면, 서하동, 서하하동, 수남면, 수북면, 수동면, 수현내, 상수서, 하수서, 감물천방, 화현내방, 조암방, 옥포방, 월배방, 인흥방, 성평곡방, 법화방, 각남, 각북, 각초동, 각일동(角一同)[각이동의 오기], 해동촌, 해북촌, 해서부, 해서촌, 하동면, 하서면, 하남면, 하북면의 초경과 종경이 기록되어 있다.
산줄기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표현하였는데, 금호강에 의해 북쪽과 남쪽으로 나누어진다. 북쪽은 팔공산에서 여러 갈래로 뻗은 산줄기가 칠곡, 의흥, 신녕, 하양과 경계를 이룬다. 남쪽은 비슬산, 최경산, 팔조현으로 이어지는 줄기가 동쪽의 조족산, 형제봉으로 연결된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대구도호부의 서쪽 경계에는 낙동강이 있고, 읍치 북쪽으로 흐르는 금호강에는 대구도호부 내에서 발원한 여러 하천들이 유입된다. 산줄기 사이에는 사찰들이 건물 기호와 함께 기록되어 있는데, 팔공산 자락에는 파계사·부인사·동화사·북지장사·보재사 등이 있고, 비슬산 줄기에는 용연사·용천사·임수사·운흥사·남지장사 등이 있다.
창고는 해안창·하빈창·강창·풍각창·화원창, 서원은 연경서원·낙빈서원, 사당은 표충사, 누정은 하목당 등이 있는데, 역시 건물 기호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봉대는 성산봉대·법이산봉대가 있고, 역원은 금천역·설화역·유산역·오동원이 있다.
주기는 호구, 원전답, 곡물총수, 군병총수, 불우, 사계(四界), 경도까지의 거리, 군명, 형승, 부창, 서원, 방리, 역원, 건치연혁, 산천, 진도, 봉수, 고적, 토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는 영조 대에 제작된 회화식 지도를 중앙에서 집대성한 군현지도책이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해동지도』 「대구부지도」 는 지도와 함께 대구도호부의 지지가 수록되어 있어 18세기 중엽 대구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