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지도3』 「경산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817
한자 東國地圖三 慶山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Gyeongsan in Donggukjido 3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지도
권책 1책[33매]
규격 53.0×35.5㎝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국지도3』에 수록된 경상도 경산현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동국지도3(東國地圖三)』 「경산지도(慶山地圖)」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국지도3』[승계貴2702-22]에 수록되어 있다. 『동국지도3』영조 연간에 경상도 71개 군현을 그린 채색 필사본 지도책인데, 표제로 볼 때 다른 도(道)의 지도도 함께 그려졌으나 경상도만 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형태/서지]

『동국지도3』 「경산지도」 의 크기는 세로 53.0㎝, 가로 35.5㎝이다. 세로 4칸, 가로 3칸의 방안에 그려져 있으며, 방안 외곽에는 동101, 남28의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주기(註記)는 없다.

[구성/내용]

『동국지도3』 「경산지도」 에서 읍치는 갈색의 원형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방리는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시내 지역인 읍내면,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지역인 장동면,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지역인 남면,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편입된 서면,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북면이 기재되어 있다.

산줄기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그려 청록색으로 표현하였다. 읍치 동쪽에는 진산인 장고산이 있으며, 서쪽 경계에는 대장현·경흥산·금성산·동학산, 남쪽 경계에는 송현·송정산·마암산, 동쪽 경계에는 성현산·구현, 북쪽 경계에는 팔공산 등이 있다. 한편 읍치 서쪽에는 옥산이 있고, 북쪽에는 대구 법이산봉수의 신호를 받는 성산봉(城山烽)이 기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는데, 경산현의 중앙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남천과 북쪽에서 서류하는 황율천이 그려져 있다. 역원은 압량역과 신원·건흥원, 사찰은 쌍계사와 여불암이 기록되어 있다. 서원은 현재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에 있는 고산서원이 표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동국지도3』은 경상도의 군현을 동일한 4.2㎝ 크기의 20리 방안에 통일된 기호를 사용하여 1장의 지도에 1개 군현씩 수록한 지도책이다. 『동국지도3』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지도(朝鮮地圖)』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었지만, 방안에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점과 도로망이 그려져 있지 않은 점 등은 정조 연간에 제작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와 동일하다.

『동국지도3』 「경산지도」 는 당시 경산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이후 간행된 『해동여지도』의 저본이 된 지도이다. 또한 『동국지도3』에 기록된 방안 수치는 『청구도(靑邱圖)』 일부 판본에 삽입된 팔도분표(八道分俵)의 방안 수치와도 일치하여 조선 후기 지도 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