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900030
한자 文學
영어공식명칭 Literatur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가평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현대/현대
집필자 신다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9년 - 가평 출신 소설가 조세희의 작품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제13회 동인문학상 수상

[정의]

경기도 가평군에서 만들어진 문학작품의 현황.

[개설]

경기도 가평군의 문학은 고려 시대까지는 특별하게 전해져오는 작품은 확인되지 않지만 조선 시대에는 대제학이었던 김상현이 시를 읊던 지역이었고, 광해군 당시 잠곡으로 들어가 숯을 구워가며 생활하였던 조선 후기 문신인 김육의 흔적이 남아있다. 현대에 들어서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으로 널리 알려진 소설가 조세희가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출신이다.

[조선 시대의 가평 문학]

고려 시대까지 경기도와 강원도를 오가며 속하였던 가평군은 1413년(세종 13) 강원도에서 다시 경기도로 이속되었으나 중종반정 후에는 국왕의 태가 봉인되어 군으로 승격되고 가평군이 되었다.

이 시기 문신이었던 이맹균(李孟畇)[1371~1440]은 「쟁영화악진기북(崢嶸華岳鎭其北)」에서 가평의 화악산을 바라보다보면서 여러 봉우리가 이어지고 감싸지며 천가지 형상으로 아름답게 풍광을 자아내는 가평의 모습에 대해서 노래하고 있다. 이후 조선의 명신인 백사 이항복(李恒福)[1556~1618] 역시 가평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한시를 남겨놓았다. 이항복의 시문집인 『백사집(白沙集)』에는 「가평군 호암동에서(加平郡虎巖洞)」와 「현등사(懸燈寺)」라는 두편의 시가 전해지는데, 「가평군 호암동에서(加平郡虎巖洞)」는 포천시 화현면과 가평군 조종면 경계에 있는 높이 936m 운악산의 장엄한 산세에 대해서 노래하고 있다. 여기서 이항복운악산을 ‘하늘의 띠 흰 폭포 장대하고’라고 말하고 있다. 현등사(懸燈寺)운악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천년고찰이다. 신라 법흥왕[514~539]시절 인도에서 왔다는 승려 마라아미를 위해서 창건된 절로 알려져 있다. 수 백년동안 폐허로 버려져 있다가 고려 시대 희종[1204~1211] 때에 보조국사 지눌이 운악산 중턱에 불빛이 보여 이상하게 여겨서 와보니 절터의 석등에 불이 밝혀져 있다는 것을 보고 새로 절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에 절 이름도 ‘등불이 걸려 있다’는 의미의 ‘현등사’라고 전해진다. 현등사는 양주 봉선사의 말사이다. 그리고 1630년 대제학이였던 김상헌(金尙憲)[1570~1652]은 가평의 초연대(超然臺)에 올라 「어초연대(於超然臺)」라는 시를 남겼고, 저명한 실학자로 알려져 있는 정약용(丁若鏞)[1762~1836]도 유배길에 오르면서 미원[현 설악면] 지역에 은둔하며 살던 심씨라는 사람에 대해 떠올리며 「미원은사가(薇源隱士歌)」라는 시를 지은 것이 문집인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서 전해진다. 또한 조선시대 문장가 중 한 사람인 신흠(申欽)[1566~1628]의 시문집인 『상촌집(象村集)』에 「소양천객행(昭陽遷客行)」이라는 제목으로 기록되어 있다. 유배지인 춘천으로 행할 때 양근[현 양평]을 지나서 가평에 이르러 험한 산길로 들어서는 마음을 시로 표현하였다고 알려져있다.

이 밖에 조선시대 가평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대동법을 시행한 김육(金堉)[1580~1658]을 말할 수 있다. 김육은 1636·1644·1646·1650년 4번에 걸쳐 사행길에 올랐는데, 이때 객지인 평안도 가산에 위치한 가평관(嘉平館)에 묵은 일이 있었다. 바람도 불고 추운데 길 떠나온 길에 고향과 같은 가평관에서 묵으니 그 소회가 남달라 김육의 시문집인 『잠곡유고(潛谷遺稿)』에 「숙가평관(宿嘉平館)」이라는 제목으로 심정을 남겨놓았다. 1614년에 김육은 잠시 정치에 뜻을 접고 세상을 피해 가평의 잠곡 청덕동으로 들어가서 농사를 지으면서 생활하였다. 이때 ‘회정당(晦靜堂)’이라는 집을 지었는데 친구인 장유(張維)[1587~1638]가 집 이름에 대하여 그의 시문집인 『계곡집(谿谷集)』에서 「회정당기(晦靜堂記)」와 「문창낭자귀가평구은 복용전운기증(聞滄浪子歸嘉平舊隱 復用前韻寄贈)」 두 시를 통하여 가평으로 돌아간 김육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다.

조선시대 가평의 문학은 강원도의 접경지역으로 깊은 산간 지역이였지만 산세만큼이나 뜻 깊은 문장과 기개를 지닌 문학 작품이 나왔던 지역이기도 하다. 그리고 가평에 묘소가 있는 유몽인(柳夢寅)[1559~1623]의 『어우야담(於于野譚)』도 가평과 관련된 문학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가평 문학]

17세기 가평을 배경으로 한 문학 작품 이후 가평의 문학 작품은 일제 강점기를 거쳐 해방이후 1970년대에 들어와서 확인된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76]이라는 제목으로 문학계에 이름을 알렸던 소설가 조세희(趙世熙)가 있다. 이후 「오늘 쓰러진 네모」[1979], 「긴 팽이모자」[1979], 「503호 남자의 희망공장」[1979], 「시간여행」[1983], 「1979년 저녁밥」[1984] 등을 발표하며 활동하며 1970년대 문학의 중심에서 활동한 조세희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으로 1979년 제13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1985년 정태춘이 스스로 시를 짓고 거기에 곡을 붙여 나온 「북한강에서」라는 노래에서는 전장이 371㎞에 이르고 가평의 가평읍과 청평을 두루 흐르는 북한강에 대해서 노래하고 있다. 또한 1970년대 후반부터 『반시』 동인으로 활동을 시작한 시인 정호승(鄭浩承)의 「북한강에서」와 시인 신동호의 「겨울 경춘선」 등에서도 가평과 지리적으로 밀접한 북한강경춘선에 대해서 노래하고 있다.

2019년 가평군 문학 작품 활동은 2006년 가평의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평문인협회에서 초대회장 박훈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가평문학』이 매년 발간되며 가평문인협회원들의 작품을 통해서 가평 지역의 문학 활동을 장려하며 꾸준하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