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688
한자 李貴
영어음역 Yi Gwi
영어의미역 Yi Gwi
이칭/별칭 옥여(玉汝),묵재(默齋),충정(忠定)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춘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생년 1557년연표보기
몰년 1633년연표보기
본관 연안(延安)
대표관직 좌찬성

[정의]

조선 중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신.

[가계]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옥여(玉汝)이고, 호는 묵재(默齋)이다.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기(李夔)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이정화(李廷華)이다.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청송부사 권용(權鎔)의 딸이다.

[활동사항]

1592년(선조 25) 강릉참봉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였고, 이어 이덕형(李德馨)·이항복(李恒福) 등의 추천으로 삼도소모관(三道召募官)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삼도선유관(三道宣諭官)에 임명되어 체찰사 유성룡(柳成龍)을 도와 군졸을 모집하고 양곡을 거두어 개성으로 운반하여 한양 수복을 도왔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는 전란 후의 혼란을 수습하는 데 힘을 쏟았다.

1616년(광해군 8)에 이천으로 유배되었는데 3년 후에 풀려나 1622년 평산부사가 되었다. 이후 광해군(光海君)의 폭정이 계속되자 이를 개탄하고 김류(金瑬), 신경진(申景禛)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일으켜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으로 녹훈되었다. 호위대장, 이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우참찬, 대사헌,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고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에 봉해졌다.

1626년(인조 4)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상기를 만 2년으로 해야 한다 주장하였다가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하였다.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강화도에 호종하여 최명길(崔鳴吉)과 함께 화의를 주장하여 다시 탄핵받았다.

[저술 및 작품]

저서에 『묵재일기(默齋日記)』·『이충정공장소(李忠定公章疏)』, 편저에 『한음공언행록(漢陰公言行錄)』이 있다.

[묘소]

묘소는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 계성산 능선에 있다. 묘소 앞에 1641년(인조 19)에 건립된 묘비가 있는데, 이식(李植)이 비문을 지었다. 만수리 입구에는 신도비가 서 있다. 신도비 앞면에는 영의정에 추증된 연평부원군 이귀의 신도비임을 나타내는 비명이 새겨져 있다. 조익(趙翼)이 비문을 짓고 오준(吳竣)이 본문 글씨를 썼으며 여이징(呂爾徵)이 전서 글씨를 썼다.

신도비의 건립 연대는 경인(庚寅)이라고만 적혀 있다. 그러나 이귀와 비문을 자의 생몰연대로 볼 때 1650년(효종 1)으로 추정된다. 신도비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로 지정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 계성산 능선에 이귀와 그의 세 아들인 연양부원군 이시백(李時白), 사우당 이시담(李時聃), 연성군 이시방(李時昉)을 배향하기 위해 세운 성봉서사 터가 있다. 성봉서사는 1871(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어 현재까지 복원되지 못하고 있다.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