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444
한자 甲寺塑造三世佛
영어의미역 Image of Buddhist Triad of Gap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동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삼세불상
제작시기/일시 17세기 중엽
높이 362㎝
소장처 갑사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 지도보기
소유자 갑사
관리자 갑사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문화재 지정일 2002년 1월 10일연표보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삼세불상.

[개설]

삼세불(三世佛)이란 원래 과거, 현세, 미래불이라는 시간적인 개념의 부처를 말하는 것이었으나, 이후 점차 그 개념이 확대되어 서방극락정토, 사바세계, 동방약사유리광정토의 공간적인 개념까지 함축하는 다중적인 의미를 가진다.

[형태]

갑사 소조삼세불은 주존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아미타불을, 왼쪽에 약사여래불을 배치하였고, 각 불상의 좌우에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과 문수보살(文殊菩薩), 그리고 보현보살(普賢菩薩)이 협시하는 형식이다. 흙으로 빚은 갑사 소조삼세불은 수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모습이 흡사해 7구의 불상 모두 동일한 조각가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은 항마촉지인을 맺었으며, 왼쪽의 약사여래불은 왼손을 들고 오른손을 다리에 놓았고, 오른쪽의 아미타불은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 중의 하나인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맺었다. 삼존 사이사이에 배치된 4구의 보살 입상 역시 판에 박은 듯 동일한 모습이며, 머리에는 불꽃 무늬와 연꽃이 조각된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특징]

장방형의 수미단 위에 조성된 대형의 소조 삼세불로서 칼로 빚은 듯 개성 없는 얼굴 표정과 폭이 넓고 도식적인 옷주름 등에서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삼세불은 모두 좌상이며, 그 사이에 배치된 네 보살상은 입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삼세불은 드문 예로서, 1703년에 조성된 화엄사 각황전 삼세불과 18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이 대표적이다.

[의의와 평가]

17세기의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외침을 겪은 시기였고, 그런 와중에 불교계는 승병의 활약 등을 통해 민중들에게 정신적 위안을 주었다.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대규모 사찰 재건이 가능하게 되었고, 각지에서 대형의 소조상을 조성하기에 이르렀다. 갑사 소조삼세불도 이러한 시대적 맥락 속에서 조성된 것으로, 가장 이른 시기에 공간적 개념의 석가모니불, 약사여래불, 아미타불 사이에 4구의 보살상을 배치한 불상으로서, 조각사적인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지**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복장전적 (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 腹藏典籍) 이 2020.08.27. 보물 제207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반영해주세요.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221&region=2&searchCondition=&searc
  • 답변
  • 관련 내용은 향후 수정증보 사업을 통해 반영하겠습니다.
2020.08.27
지**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 및 腹藏遺物)이 2020.08.27. 보물 제207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반영해주세요.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221&region=2&searchCondition=&se
  • 답변
  • 관련 내용은 향후 수정증보 사업을 통해 반영하겠습니다.
2020.08.2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