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18
한자 佳水里上佳-祭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상가 마을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비물질 문화유산 지정 일시 2003년연표보기 - 가수리 상가 짐대제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17호 지정
성격 마을 공동 제의
의례 시기/일시 음력 2월 초하루
신당/신체 짐대
문화재 지정 번호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17호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상가 마을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지내는 마을 공동 제의.

[개설]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상가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 사람들이 모두 참여하는 가운데 짐대[솟대]를 세우고 짐대제를 지내고 있다. 음력 정월 15일에 마을 회의를 거쳐 짐대제에 관한 전반 사항을 논의한다. 이장의 주도하에 전체 일정을 짜고 역할을 분담한다. 음식 장만은 부녀회에서 담당하며 음식 준비는 마을 회관에서 한다. 짐대제에 올리는 제물은 나물 몇 가지로 매우 간소하기 때문에 제물보다는 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먹을 음식을 만드는 데 더 많은 힘을 들인다. 전에는 짐대제를 지내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마을 사람들이 성의껏 걷어서 충당하였는데, 근래에는 화순군에서 제의 비용을 일부 지원해주고 있다. 이 짐대는 현재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17호로 지정되어 있어 화순군의 대표 민속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상가 마을 동쪽의 산은 ‘촛대봉’ 일명 ‘등잔솔’이라고도 부르는데, 풍수지리에 의하면 마을 앞에 있는 산이 화기(火氣)를 품고 있어 마을에 빈번하게 화재가 발생했다고 한다. 그래서 1800년대부터 마을의 화기를 없애기 위해 짐대를 세웠다고 전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짐대제에 쓰였던 짐대는 마을 앞 당산 거리에 현재 5기가 세워져 있다. 마을 입구에서 마을 쪽을 바라보았을 때, 우측에 2기, 좌측에 3기가 있다. 상가 마을 사람들은 육송만을 이용해 짐대를 만들며 짐대 위에 오리를 앉히고 오리 입에 대나무 가지를 서너 가닥 물린다. 마을 사람들은 오리 입에 물리는 대나무 가지를 ‘오리 수염’이라고도 하고, 오리가 물을 머금어 뿌리는 모습이라고도 한다. 이는 마을의 화기를 물고 날아가라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오리를 올리는 이유는 오리가 물에서 사는 동물이기 때문에 불을 다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오리의 머리는 남쪽 방향을 향하게 하는데, 이는 오리의 배설물로 화기를 덮기 때문이라고 한다.

[절차]

제의 당일인 음력 2월 초하루가 되면 먼저 줄드리기를 한다. 줄드리기는 짐대를 만들 육송을 베러 가기 전에 당산에 줄을 드리는 절차이다. 줄은 지푸라기로 만들며, 작년에 쓰던 것에 이어서 만든다. 당산 나무에 줄을 걸치고 나서 한 사람이 줄을 잡고 세 사람이 동작을 맞추어 줄을 꼰다. 줄드리기를 마친 후에 벌목을 하러 가는데, 이때 풍물을 치는 사람들이 “짐대 나무 찾으러 가세.”라고 외치며 앞장을 서면 나머지 사람들이 뒤따른다. 짐대의 재료가 되는 나무는 반드시 육송으로 고르며, 마을 앞에 있는 산에서 벌목을 한다. 예전에는 톱으로 베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전기톱을 사용한다.

산에 도착하면 먼저 나무 고르기를 한다. 나무를 고르는 기준은 우선 육송이어야 하며 키와 두께가 적절해야 하고 너무 반듯하게 자라지 않은 것이라야 한다. 너무 반듯하게 자란 것 보다는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한 소나무를 짐대로 세웠을 때 더 보기에 좋다고 한다. 짐대를 만들 나무가 정해지면 전기톱을 이용해서 벤다. 나무를 쓰러뜨리기 전에 먼저 쓰러질 방향을 정하여 그곳에 있는 방해물들을 제거한다. 나무를 쓰러뜨릴 때는 가능하면 위쪽으로 넘어지게 한다. 그래야 더 안전하기도 하고, 무거운 부분이 아래쪽에 있어서 가지고 내려갈 때 힘이 덜 든다고 한다.

벤 나무는 모두 합심하여 당산 거리에 가져다 놓는다. 그리고 짐대를 만든 뒤에 바로 합심하여 짐대 세우기를 한다. 짐대를 세우기 전에 짐대를 세울 구덩이를 파는데, 그곳에 마른 명태를 창호지에 싸서 구덩이에 넣어둔다. 이어 짐대제를 올리기 시작한다. 짐대제를 지내는 사람은 부정이 없는 깨끗한 사람이어야 하며, 짐대 앞에 간단히 제물을 진설한다. 이때 비린 것은 올리면 안 된다고 한다. 제물로 올린 것은 정화수 한 그릇, 막걸리 한 잔, 흰색 절편 한 접시, 고사리나물 한 접시, 콩나물 한 접시, 야채전 한 접시, 나무젓가락 한 벌이었다. 술을 따르고 절을 한 후 제물을 조금씩 걷어서 땅에 묻는 것으로 짐대제는 끝이 난다. 축문은 전하지 않는다.

[부대 행사]

예전에는 아래뜸, 윗뜸으로 나누어 줄다리기를 했었는데 1950년대에 중단되었다고 한다. 또한 정월 대보름 날에는 달집태우기를 하여 달집이 넘어지는 쪽이 풍년이 든다고 하였는데, 지금은 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