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지도』「익산군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608
한자 海東地圖益山郡圖
영어공식명칭 Haedongjido Iksangundo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양기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748년~1750년 - 『해동지도』 작성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조선 후기 전국의 군현을 회화식으로 그린 『해동지도』전라도 익산군의 지도.

[개설]

『해동지도(海東地圖)』는 우리나라의 도별군현지도집(道別郡縣地圖集)에 「팔도총도(八道總圖)」, 「서북피아양계전도(西北彼我兩界全圖)」를 포함시킨 지도이다. 군현 지도뿐만 아니라 「조선전도」, 「도별도」와 「중국도」, 「황성도」, 「북경궁궐도」, 「왜국지도」와 함께 주요 관방의 지도도 포함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제작 발급 경위]

『해동지도』는 새롭게 그려진 것이 아니라 이전에 비변사에서 제작한 지도를 참고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도첩에서 익산군은 회화식으로 묘사되어 있다. 지도의 여백을 이용하여 호구, 전결, 곡물, 건치 연혁, 산천, 군명, 고적, 역원, 서원, 불우, 토산 등의 항목과 방위를 표시하는 방면 주기가 들어 있다. 이는 『해동지도』가 지방 고을의 통치를 위하여 제작되었고, 당시 비변사와 함께 지도 제작을 주도하였던 홍문관에서 만들어졌음을 보여 준다.

[형태]

『해동지도』는 8첩(帖) 필사본의 채색도이며, 크기는 가로 47㎝, 세로 30.5㎝이다.

[구성/내용]

『해동지도』는 8첩의 작자미상 필사본으로 1748년(영조 24)~1750년(영조 26)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어 제작 또한 이 시기로 추정된다. 현재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어 있다. 각 책의 목차는 제1책 경기도, 제2책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 관동전도·북관전도, 제4책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 영남전도, 제6책 호서전도, 제7책 호남전도, 제8책 팔도총도로 구성되어 있다. 제4책의 서북피아양계전도와 제8책의 팔도총도는 대형 전도이다. 「익산군도(益山郡圖)」는 제7책인 호남전도에 포함되어 있다.

『해동지도』 「익산군도」 에서 산세는 미륵산용화산을 제외하면 야트막한 언덕 정도에 불과하다. 읍치 아래쪽의 왕궁탑(王宮塔)은 현재 국보 제289호로 지정된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益山王宮里五層石塔)이며, 당시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미륵산 아래쪽의 김장생과 송시열을 배향한 화산서원(華山書院)이 표시되어 있으며, 그 왼쪽에 고려 공민왕 때의 충신 이공수(李公遂)를 배향한 남촌서원(南村書院, 현 화암서원이 표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는 수록된 지리 정보로 보아 이전에 비변사에서 제작한 지도를 참고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동지도』는 18세기 후반 전국의 모든 고을의 지리적 내용을 통일적인 체계에 의해 묘사하였고 완성도가 높아 당시 지도의 발달뿐만 아니라 고을의 역사 지리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데 매우 가치 있는 자료이다. 그러나 「익산군도」를 그린 작가는 익산군의 산세를 이어지게 강조하여 산맥의 흐름을 강조하고 있다. 미륵산 앞쪽의 미륵면(彌力面)에는 사적 제150호 익산 미륵사지(益山彌勒寺址)가 있어야 하지만 「익산군도」에는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