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701666 |
---|---|
한자 | 出生儀禮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집필자 | 김덕묵 |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출산 전부터 출산 후에 이르기까지 육아와 관련하여 행하는 의례.
[개설]
출생 의례는 아이가 태어날 때부터 육아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신앙과 전반적인 지식이 담겨 있다. 누구나 아이를 가져야 하고 길러야 한다는 점에서 출생 의례는 상식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중요한 것이기도 한다. 또한 예로부터 아이를 양육해 온 어머니들의 지혜가 축적되어 있는 민속 지식이기도 하다.
출생 의례는 아이가 없는 사람은 아이가 태어나게 해 달라고 삼신에게 비는 기자(祈子), 아이를 낳은 후에 행해는 출산(出産), 아이를 기르는 육아(育兒)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기자를 위해서는 치성을 드려야 한다. 예나 지금이나 임신이 불가하거나 쉽게 아이가 생기지 않는 여인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 여인들은 치성을 많이 드려야 했다. 임신을 하고 나도 먹는 것, 보는 것, 행위 등에서 모든 부정을 조심하며 근신하였다. 출산을 하면 삼신상을 차려 놓고 삼신에게 아이의 건강을 빌었다.
[변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서 어떻게 행해졌는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도 이상분이 어렸을 때는 아이가 생기게 해 달라고 문학산에 가서 비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문학산 동북쪽에는 삼신 우물이 있다. 이 우물에 가서 치성을 드리면 태기가 없던 사람도 아이를 얻게 되므로 산신(産神) 우물이라 불렀다. 애를 낳으면 삼신 우물에서 물을 떠다 미역과 쌀을 씻어 밥을 지어 산모에게 먹이면 아이가 똑똑해진다고 하였다. 이 우물과 관련하여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한다. 마을의 한 산모가 아이를 낳고는 젖이 안 돌아서 젖 나오게 해 달라고 기도를 했다. 어느 날 바가지를 가지고 우물에 가서 물을 흘리며, 젖을 좀 흘려 달라고 빌면서 집까지 왔다. 그랬더니 젖이 나왔다고 한다.
근래에는 산부인과에서 아이를 낳지만 1970년대만 하더라도 가정에서 아이를 낳았다. 이웃에서 경험이 풍부한 아주머니가 산파가 되어 아이 낳는 것을 도와주기도 하고 퇴직한 간호사들이 직업적으로 산파를 하며 가정에 오기도 했다. 가정에서 아이를 낳을 때는 출산하다가 죽는 경우도 많아 위험하였다. 그래서 삼신에게 지극 정성으로 빈다. 아이가 태어나면 탯줄을 끊어 마당에서 태우고, 이어서 부정한 사람이 범접하지 못하도록 대문에 금줄을 맨다. 그리고 산모에게는 미역국으로 첫국밥을 준다. 삼신할머니에게도 삼신상을 차려서 아이의 건강을 빌며 21일이 될 때까지 금줄을 해놓는다. 백일이 되면 이웃사람들에게 아이를 보여 주며 백일잔치를 한다. 첫돌이 되면 돌잔치를 하며 돌상을 차려 놓고 아이가 먼저 집는 것을 보고 아이의 장래를 점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