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593
한자 歲時風俗
영어음역 Sesi Pungsok
영어의미역 Seasonal Custom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집필자 임세경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 풍속.

[개설]

세시 풍속은 한 해를 주기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를 말한다. 즉 세시 풍속은 순환형 시간관을 기저로 행해지는 것으로, 한 해의 일정한 날에 일정한 행사를 매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시 풍속은 그것이 행해지는 사회적·지리적 상황에 맞춰 다양한 기능을 함께 가진다. 세시 풍속은 가정신앙, 마을신앙 및 자연숭배, 곡령숭배, 조상숭배 등과 함께 종교적 기능을 맡고 있다.

또한 명절날은 일상적으로 해 왔던 일을 멈추고 일상에 리듬감을 주며 힘을 비축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휴식적 기능, 혈연적이며 지연적인 만남과 사교의 장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능, 놀이와 예능이 펼쳐지는 장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보건적 기능, 그리고 자연스러운 민속의 학습과 전승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민속적 기능을 가진다. 하지만 요즘은 전통적인 의미의 세시 풍속은 설이나 추석과 같은 큰 명절을 제외하고는 많이 사라져 가고 실정이다.

[봄]

1. 설: 설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며, 집안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린다. 차례는 설 아침에 모시는데, 설 음식으로 떡국을 차려 놓는다. 차례를 지낸 후에는 가족들이 모여 성묘를 다녀온다. 그리고 세배는 친척들에게 정초 인사를 드리는 것으로, 가까운 친척의 경우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다녀오며, 먼 친척의 경우 아침 식사를 마친 후에 세배를 가기도 한다.

2. 정초: 정초에는 1년 동안의 운세를 본다. 토정비결을 보거나, 점쟁이를 찾아가 사주풀이를 받아 보기도 한다. 이때 운세가 나쁘다고 하면 정초에 날을 받아서 액막이를 한다. 정월 초사흗날에는 복조리를 사서 2개를 엇갈려 묶은 후 방문 앞에 걸어 놓는다. 이때 복조리 속에 특별히 넣어 두는 것은 없다. 그 밖에 정초 12지일에 따른 여러 가지 금기가 전하며, 정월달의 민속놀이로는 윷놀이를 즐겨 한다. 입춘에는 입춘축을 붙인다.

3. 대보름: 정월 대보름에는 오곡밥과 진나물을 해 먹으며, 매운 음식은 먹지 않는다. 오곡밥으로 김쌈을 만들어 먹기도 하며, 이웃집에 오곡밥을 얻어먹으러 다니기도 한다. 그 밖에 우물 먼저 긷기, 부럼깨기, 댓불 피우기, 머리카락 태우기, 달점치기, 더위팔기, 까치밥 주기, 소밥주기, 참 음식, 두부 먹기 등을 한다.

4. 영등날: 2월 초하룻날에는 콩을 볶아 먹는다. 콩을 볶을 때는 콩뿐만 아니라 목화씨, 나락, 보리, 쌀 등의 온갖 곡식을 넣고 함께 볶는다. 콩을 볶으면서 넝쿨 식물이나, 해충이 함께 볶아져 없어지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초엿새 날에는 좀생이별 점을 보는데, 달과의 거리를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그리고 소쩍새 울음소리를 듣고 풍흉을 점치기도 한다.

5. 삼짇날: 3월 삼짇날에는 나비 점을 친다. 노란 나비를 먼저 보면 1년 신수가 좋다고 하며, 흰나비를 보면 상복을 입게 된다고 하여 꺼린다. 그리고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되기 전에 화전놀이를 간다.

[여름]

1. 초파일: 4월 초파일에는 절에 가서 가족들의 무사태평을 기원하여 연등을 달고 불공을 드린다. 절에 갈 때는 초와 쌀을 가져가고, 연등에 촛불을 켜면서 1년 운세를 점치기도 한다.

2. 단오: 5월 단오에는 삐비떡을 해서 아이들에게 먹인다. 이 떡을 먹으면 감기에 걸리지 않고 아픈 곳 없이 잘 큰다고 한다. 그리고 익모초 즙을 마시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하며, 단옷날 약초를 말리면 약이 된다고 한다.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상추 이슬로 세수를 하면 좋다고 한다. 민속놀이로는 그네뛰기, 씨름, 널뛰기 등을 한다.

3. 유두: 6월 유두에는 각 가정에 따라 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유두날은 1년 동안 농사를 얼마나 잘 지었나를 결정하는 날로 오전에는 들에 나가지 않는다. 이날 밀개떡을 해 먹기도 한다.

[가을]

1. 칠석: 7월 칠석날에는 각 가정에 따라 차례를 지내기도 하며,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기도 한다. 이날 역시 칠성님이 마련하는 날이라고 하여 들에 일찍 나가지 않는다. 7월 백중날은 바쁜 농사일이 대충 끝난 시기로, 일을 하지 않고 하루를 쉰다.

2. 추석: 8월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며, 성묘를 간다. 차례를 지낼 때는 이른 나락을 훑어 솥에다 쪄서 말려 찧은 올개쌀로 오리심리를 한다. 그리고 송편을 빚어 먹는다.

3. 중구[중양절]: 9월 중양절에 차례를 지내기도 하는데, 추석에 오리심리를 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이때 오리심리를 한다. 그리고 쌀가루로 속에 아무 것도 넣지 않은 모떡을 만들어 먹는다.

[겨울]

1. 시제: 가을에 추수를 끝내고 각 집안마다 시제를 지낸다. 시제를 지내는 날짜는 모두 다르다. 문중의 규모에 따라 하루 만에 끝나기도 하지만 며칠씩 걸리기도 한다.

2. 동지: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먹는다. 찹쌀로 새알심을 빚어 넣은 팥죽은 먹기 전에 먼저 선영과 천룡에 차려 놓는다. 잡귀를 물리기 위한 것으로 울 안의 사방에 팥죽을 뿌리기도 한다.

3. 그믐날: 섣달 그믐날에는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집안을 깨끗하게 청소하며, 밤새 불을 밝혀 놓는다. 그리고 설을 지내기 위한 준비를 한다. 12월의 날씨에 따라 다음해의 운수를 점치기도 하는데, 함박눈이 오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기타]

윤달에는 귀신이 자리를 비운 때라고 하여 공달이라고도 하며, 무엇을 해도 좋은 때이다. 그러므로 윤달에 산일이나 집안을 고치기도 하며, 수의를 만들어 놓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