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1896
한자 寺址
영어의미역 Temple Sit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김현길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사찰의 유지(遺址).

[개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충주 지역에 있던 사찰은 『고려사(高麗史)』·『세종실록(世宗實錄)』·『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각종 지리지에 그 사찰 명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은 없어지고 절터만이 남아 있다. 이 외에도 많은 절터가 있으며 그곳에서 나오는 명문의 와편을 통하여 절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있으나, 골골에 절골이라고 하는 이름 모를 옛 절터가 많다.

[기록에 있는 사찰]

1. 『고려사』에 나오는 사찰

숭선사(崇善寺)충주시 신니면 문숭리 862-2번지에 절터가 있다. 이곳에서 나온 명문(銘文) 와편에 의해 숭선사임을 확인하고,『고려사』에 의해 954년(광종 5) 왕이 모후인 태조의 3비 신명순성왕태후 충주유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한 절임을 알게 되었다. 죽장사(竹杖寺)에 대해서는 1170년(의종 24) 4월에 노인성(老人星)을 충주의 죽장사에서 제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 소재를 알 수 없으나, 충주시 직동에 있는 죽정사(竹亭寺) 터로 추측된다. 고려시대 삼층석탑이 있으며 1986년에 석종사(釋宗寺)가 새로 창건되었다.

대원사(大院寺)에 대해서는 1232년(고종 19) 몽고군 침입시 노군을 이끌고 항전한 승려 우본(牛本)에게 충주 대원사의 주지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의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절터로 추측된다. 개천사(開天寺)는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에 절터가 있었다. 정토사라고도 한다. 충주댐으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1381년(우왕 7)에 왜구의 침입으로 고려의 역대 사적(史籍)을 보주(현 경상북도 예천) 보문사에서 충주 개천사로 옮겼다는 기록이 있다. 보물 제17호로 지정된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가 수몰 지역에서 옮겨져 있다.

2. 『세종실록』에 나오는 사찰

청룡사(靑龍寺)충주시 소태면 오량동산 32번지에 절터가 있다. 1426년(세종 8년)에 효령대군의 가신노자 등이 청룡사·김생사·용두사·엄정사·향림사 등의 전지(田地)를 마구 침탈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고려 말의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 제197호]과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보물 제658호] 등 석조 유물이 많다. 관련 암자로 연회암(宴晦庵) 터가 서쪽 언덕에 있다.

김생사(金生寺)충주시 금가면 유송리 65-5번지[김생로 325]에 절터가 있고, 김생사지는 충청북도 기념물 제114호로 지정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신라의 서성(書聖) 김생(金生)[711~791]이 이곳에서 두타(頭陀)의 고행(苦行)을 닦았다고 하였다. 용두사(龍頭寺)는 『동국여지승람』에 말흘산(末訖山)에 있다고 하고 삼국시대에 북적(北狄)이 침입하여 절과 탑을 세워 기양(祈禳)하였다고 한다. 충주시 동량면 대전리 절터로 추정하나 믿기 어렵다.

엄정사(嚴政寺)는 충주시 엄정면 추평리사지에 고려시대 석탑이 있어 추측이 간다.

향림사(香林寺)는 『충주군읍지』(1898)에도 보인다. 엄정면의 빌미산 윗 향림리에 절터가 있다. 보련사(寶蓮寺)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산26번지에 절터가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교종에 속하고 ‘급전일백오십결(給田一百五十結)’이라고 되어 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천룡산에 있다고 하였다.

3. 각종 지리지에 나오는 사찰

영곡사(靈鵠寺)충주시 단월동 산51번지에 있는 정심사의 자리로 추측된다. 『동국여지승람』에 대림산에 있다고 하였다. 주변에 고려시대 기와편이 산재하여 있다. 난초사(蘭草寺)는 『동국여지승람』에 가섭산에 있다고 하였으나 확인되지 않고 있다. 동가섭사(東迦葉寺)는 『동국여지승람』에 가섭산에 있다고 하였다. 가섭산의 동쪽인 신니면 마수리에 사지가 있어 추측이 간다.

화암사(禾巖寺)는 『여지도서』에 종당산(宗堂山) 아래에 있다고 하였다. 용탄동 지역에는 웃절골·아래절골 등 절터가 있어 정밀 조사가 요망된다. 영취사(靈鷲寺)는 『여지도서』에 종당산 아래에 있다고 하였다.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빈발암(賓鉢庵)은 『여지도서』에 종당산 위에 있다고 하였다.

[유물이 있는 사지]

충주 미륵대원지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8번지에 있다.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보물 제96호)과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제95호) 등 석조 유물이 많다. 3차에 걸친 발굴 조사로 ‘미륵당’, ‘대원사’ 등의 명문에 의해 예전의 사찰 이름을 추정할 수 있다. 오갑사지(烏岬寺址)충주시 앙성면 모점리 392번지[모점1길 404]에 있다. ‘오갑사’라는 명문 와편이 나오며, 충주 오갑사지 석조여래좌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4호)이 있다.

의림사지(義林寺址)충주시 안림동 537번지 일대로 안림동사지라고 하여 왔다. 1190년에 조성된 의림사 명문이 각자된 금구가 1989년에 출토되었다. 주변에 삼국시대의 와편 등이 산재하여 있다. 광제암사지(廣濟庵寺址)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극락산(極樂山)에 있다. 주변에 산재한 ‘순치 10년’(1653)이 기록된 와편에 의해 사찰 명이 확인되었다.

원동사지(院洞寺址)는 충주시 중앙탑면 원동리 탑동에 있다. 1981년에 주변 공사 중 ‘숭경 2년’(1213)이 음각된 철인(鐵印)과 연화문·수막새 등이 나왔다. 용관동사지충주시 용관동 461번지에 있다. 부재가 많이 없어진 고려시대 삼층석탑이 있었으나, 충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계명산사지는 용탄동 신광목장을 지나 ‘위 절골’에 있다. 1983년 이곳에서 인물상을 부조한 특이한 돌판이 나와 충주박물관에 옮겨졌다.

충인동사지충주시 충인동 효성교회 자리로 추정된다. 현 건물을 축조할 때 많은 석부재가 출토되었다. 일제시대 지도에 예성사가 있는데, 일본인들의 절로 추측된다. 종민동사지충주시 종민동 52번지에 있다. 계명산 등산로의 중턱이다. 1930년대에 오층석탑이 있어 마을 아래 강변에 옮겼다고 하나 현재는 없다.

문화리 사지충주시 살미면 문화리2구 뒷산에 있다. 석종형 부도가 있었는데, 1983년에 내사동으로 옮겼다. 공이동사지충주시 살미면 공이동 산32번지에 있다. 일제시대에 석탑이 반출되었다고 한다. 대사리사지충주시 수안보 사문리(대사)에 있다. 온천리 탑동 사지온천리 탑동 봉불사 앞의 삼층석탑이 있는 주변으로 추정된다. 문주리사지는 충주시 대소원면 문주리 탑동 451번지에 있다.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 좌상이 있다.

유학사지(遊鶴寺址)는 충주시 대소원면 장성리 부연마을에 있다. 유학사지로 전해온다. 삼층석탑과 석불좌상이 있었는데 충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덕연리 사지는 충주시 주덕읍 조동 뒷산에 있다. 주변에 와편이 산재하고 있다. 원평리사지충주시 신니면 원평리 108번지에 있다. 702년(성덕왕 원년)에 창건하여 ‘선조사(善祖寺)’라 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과 충주 원평리 삼층석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이 있다.

봉황리 사지충주시 중앙탑면 봉황리 450번지 논에 있다. 1990년 골재 채취시 석탑부재가 출토되었다. 더 확인 없이 공사를 중지하였다. 정밀 조사가 요구된다. 봉황리 내동 사지중앙탑면 봉황리 산24-3번지에 있다. 옥개석과 탑신석 등이 흩어져 있다. 안반내 사지는 충주시 중앙탑면 안반내 122번지의 뒤편 산 중턱에 있다. 고려시대 토기편과 기와와 전편이 나온다. 창동사지충주시 중앙탑면 창동 242번지에 있다. 충주 창동리 오층석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과 충주 창동리 석조약사여래입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1호)이 있다.

하구암리 사지는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묘곡마을에 있다. 석불 입상과 삼층석탑이 있다. 주변이 절터임을 알 수 있다. 도촌리 사지는 충주시 금가면 도촌리 절골에 있다. 태고산 밑으로 불두가 없는 석불 입상이 있다. 화암리 사지는 충주시 동량면 화암리 다랑골에 있다. 탑 부재와 기와편이 산재한다. 하천리 사지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88번지[하천2길 24]에 있다. 개천산 계곡에 ‘큰 절골’, ‘작은 절골’이 있다.

손동리 사지충주시 동량면 손동리의 태화산 중턱에 있다. 고려시대 와편이 있으며, ‘용두사’지로 추정하고 있으나 확실치 않다. 음곡사지(陰谷寺址)는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덕해마을 골짜기에 있다. 1928년에 창건했다고 하나 현재는 없다. 이 능선 암벽에 불상이 조각되고 있어 ‘영덕리 마애불’이라 한다. 주치리 사지는 충주시 소태면 주치리 감투봉 중턱의 절골에 있다. 둥근 부도가 있다. 삼양사지(三陽寺址)는 충주시 소태면 동막리 삼양골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