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0590 |
---|---|
한자 | 全州崔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금곡리 용정|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진천군 광혜원면 회죽리 |
집필자 | 강민식 |
세거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
---|---|
집성촌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
입향시기/연도 | 조선 전기 |
성씨시조 | 최순작 |
입향시조 | 최유경 |
[정의]
최순작을 시조로 하고, 최유경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성씨.
[연원]
전주최씨(全州崔氏)는 계보를 달리하는 4파로 갈라져 있는데, 완산부개국백(完山府開國伯)에 봉해진 최순작(崔純爵)을 시조로 하는 문열공파(文烈公派), 완산군(完山君)에 추봉된 최균(崔均)을 시조로 하는 사도공파(司徒公派), 완산군 최아(崔阿)를 시조로 하는 문성공파(文成公派),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진 최군옥(崔群玉)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파(文忠公派)가 그들이다.
충청북도 진천군에 세거하는 전주최씨는 문열공파가 대부분이다. 시조 최순작은 고려 정종 때 벼슬에 나갔고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냈으며, 숙종 때 병부상서겸신호위상장군(兵部尙書兼神虎衛上將軍)을 역임하였고, 완산부개국백에 봉해졌다.
[입향경위]
최순작의 7세손인 조선의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의정부참판(議政府參判)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이 만년에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죽정에 은퇴 한거(閑居)하여 ‘죽정(竹亭)’이라 자호(自號)한 이래 600여 년을 세거(世居)하고 있다. 이후 최유경의 여섯째 아들 최사흥(崔士興)이 문백면 구곡리 외구[밖굴터]로 이주하여 그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다.
[현황]
『상산지(常山誌)』에 수록된 효자 중 전주최씨는 총 6명으로, 이들 모두 정려가 내려지거나 포상되어 진천 지역에서의 위상과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다. 최유경·최사흥을 비롯하여 최사립(崔斯立)·최덕순(崔德恂)·최기(崔基) 3대는 각각 중종·선조·인조 때, 최기의 손자 최주민(崔柱旻)은 숙종 때 효행으로 명정되었다. 또 최사립의 증손 최면성(崔勉誠), 최주민의 증손 최종운(崔宗運), 최극성(崔克成)의 증손 최제두(崔齊斗), 최유경의 13세손 최홍학(崔弘學)·최승철(崔昇澈)도 효자로 이름났다. 현재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외구마을에는 50여 호에 전주최씨와 상산임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관련유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굴티마을에는 최유경 부자 효자문(崔有慶父子孝子門)이 있다. 최유경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지낸 뒤 초평면으로 낙향하였다. 평소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부모상에 6년간 시묘살이를 행한 효행이 널리 알려졌다.
최사흥은 최유경의 여섯째 아들로 대흥현감무(大興縣監務)로 있을 때 부친상을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또 어머니를 지성으로 봉양하였는데, 어머니 병세가 위독하자 허벅다리 살을 베어 올려 효험을 보기도 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에도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세종 때 최유경과 최사흥 부자의 효행을 기려 마을에 정려(旌閭)를 세웠다. 최사흥의 효행 사실은 『동국신속삼강행실(東國新續三綱行實)』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