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500497 |
---|---|
한자 | 竹島圖說 |
영어음역 | Jukdo-doseol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경상북도 울릉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승진 |
성격 | 외국문헌 |
---|---|
저자 | 기타조노 미치안[北園通葊] |
편자 | 기타조노 미치안[北園通葊] |
저술연도/일시 | 1751년(영조 27)~1763년(영조 39) |
권수 | 1권 |
책수 | 1책 |
가로 | 17㎝ |
세로 | 26.5㎝ |
표제 | 文鳳堂雜纂 |
소장처 | 일본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 |
[정의]
1751년부터 1763년에 기타조노 미치안이 저술한 독도 기록이 있는 일본 문헌.
[개설]
독도가 일본령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일본 문헌 중 하나로서 이후 쓰여진 『죽도잡지』가 인용한 문헌이다.
[편찬/발간경위]
기타조노 미치안[北園通葊]이 오키시마[隱岐島] 어부들의 구술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 당시 울릉도와 송도를 오가며 어업 행위를 하던 어부들의 이야기를 모은 것으로 저자가 직접 울릉도와 독도를 방문하지는 않았다고 전해진다.
[서지적 상황]
『문봉당잡찬(文鳳堂雜纂)』 속에 수록되어 있으며, 일본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1권 1책이며, 일본어로 쓰여졌다. 표제는 ‘문봉당잡찬(文鳳堂雜纂)’이며, 크기는 가로 17㎝, 세로 26.5㎝이다.
[구성/내용]
『죽도도설』에는 「죽도지도(竹島之圖)」[현 울릉도 지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송도[현 독도]를 ‘은기국 송도(隠岐國 松島), 은기의 송도(隠岐ノ松島)’로 표기한 구절이 나온다. 이는 송도를 일본령으로 인식한 것으로 이를 근거로 일본은 독도가 오래전부터 일본령임을 강조하였다.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키국 송도(松島)의 서도(西島)[송도의 소속 섬으로 그 고장에서는 차도(次島)라고 부른다]로부터 바닷길로 40리쯤 떨어진 북방에 한 섬이 있으니 이름을 죽도(竹島)라고 한다. 이 섬은 일본에 접하고 조선에[죽도로부터 조선까지는 뱃길로 40리[약 160㎞] 쯤에 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1724년(향보 9) 예전에 여러 번 그 섬에 건너간 적이 있는 한 노인에게 들은 것이다. 노인이 말하기를 하쿠슈[泊州]로부터 오키의 후국(後國)까지 35~36리[약 140~144㎞]에 있으니 이 섬이 멀리에서도 보이는 것을 고려하여 볼 때, 죽도로부터 조선 산은 멀리 볼 때 약 40리[약 160㎞] 쯤의 거리에 있다고 한다. 살펴보건대 조선 산이라는 것은 조선의 울릉산이다] 인접하였는데, 지형은 삼각으로 주위는 대충 15리[약 60㎞] 정도이다. (중략)
하쿠슈 요나고로부터 죽도까지 바닷길로 160리[약 640㎞] 정도가 된다. 요나고에서 이즈모로 나와 오키의 송도를 지나 죽도에 이르게 되며 단, 오키의 후쿠시마에서 송도까지는 바닷길로 60리[약 240㎞] 정도, 송도에서 죽도까지는 40리[약 160㎞] 가량이라고 했다. 이상의 제설(諸說)은 1724년(향보 9) 관부(官府)[에도 막부]의 하문에 의하여 요나고의 백성 오오야 규에몬 및 무라카와 이치베라고 하는 자의 답서(答書)에 의거한 것이다.”
○ 일본어 원문
“隠岐國松島ノ西島(松島ノ一小屬ナリ島土俗呼テ次島ト做ス)ヨリ海上道規凡四十里許リ北方ニ一島アリ名テ竹島ト曰フ 此ノ島日本ニ接シ朝鮮 (竹島ヨリ朝鮮ヘ海上道規四十里許ト云此說ハ享保九年昔屢島セル一老叟ニ詰問セラレト其答伯州會見郡濱野目三柳村ヨリ隱岐ノ後島ヘ三十五六里アリ是遠見ノ考ヲ以テ竹島ヨリ朝鮮山ヲ見ハ少ク遠ク見エルハ凡四十里許カト云リ謙按ニ那朝鮮ト山ルハ恐ハ朝鮮ノ鬱陵山ナラン)ニ隣シ地形三角ニシテ周囲凡ソ十五里許リ(中略) 伯州米子ヨリ竹島マテ海上道規百六十里許アリ 米子ヨリ出雲ヘ出隠岐ノ松島ヲ歴テ竹島ニ至ルナリ 但隠岐ノ福島ヨリ松島マテ海上道規六十里許松島ヨリ竹島マテ四十里許ト云也以上ノ諸説ハ享保九申辰年官府江府ノ叩問ニ依テ米子ノ市人大谷九右衛門村川市兵衛カ貴答ノ上書ニ原ケリ”
[의의와 평가]
이 문서에서는 송도[현 독도]를 일본령이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인의 죽도 도해가 금지된 1699년부터 시마네현고시 이전까지 송도를 오키국의 관할로 기록한 일본의 관찬(官撰) 자료는 이후로 단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죽도도설』에서 어떻게 송도가 오키의 관할로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1.04.12 | 단위 환산 오류 | [구성/내용] 『죽도도설』에는 「죽도지도(竹島之圖)」(현 울릉도 지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송도(현 독도)를 ‘은기국 송도(隠岐國 松島), 은기의 송도(隠岐ノ松島)’로 표기한 구절이 나온다. 이는 송도를 일본령으로 인식한 것으로 이를 근거로 일본은 독도가 오래전부터 일본령임을 강조하였다.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키국 송도(松島)의 서도(西島: 송도의 소속 섬으로 그 고장에서는 차도(次島)라고 부른다)로부터 바닷길로 40리쯤 떨어진 북방에 한 섬이 있으니 이름을 죽도(竹島)라고 한다. 이 섬은 일본에 접하고 조선에(죽도로부터 조선까지는 뱃길로 40리(약 15㎞) 쯤에 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1724년(향보 9) 예전에 여러 번 그 섬에 건너간 적이 있는 한 노인에게 들은 것이다. 노인이 말하기를 하쿠슈[泊州]로부터 오키의 후국(後國)까지 35~36리(약 13~14㎞)에 있으니 이 섬이 멀리에서도 보이는 것을 고려하여 볼 때, 죽도로부터 조선 산은 멀리 볼 때 약 40리(약 15㎞) 쯤의 거리에 있다고 한다. 살펴보건대 조선 산이라는 것은 조선의 울릉산이다) 인접하였는데, 지형은 삼각으로 주위는 대충 15리(약 5㎞) 정도이다. (중략) 하쿠슈 요나고로부터 죽도까지 바닷길로 160리(약 62㎞) 정도가 된다. 요나고에서 이즈모로 나와 오키의 송도를 지나 죽도에 이르게 되며 단, 오키의 후쿠시마에서 송도까지는 바닷길로 60리(약 23㎞) 정도, 송도에서 죽도까지는 40리(약 15㎞) 가량이라고 했다. 이상의 제설(諸說)은 1724년(향보 9) 관부(官府: 에도 막부)의 하문에 의하여 요나고의 백성 오오야 규에몬및 무라카와 이치베라고 하는 자의 답서(答書)에 의거한 것이다.” 수정사항 : 40리(약 15km) -> 40리(약 160km) 35~36리(약 13~14㎞) -> 35~36리(약 140~144㎞) 약 40리(약 15km) -> 약 40리(약 160km) 15리(약 5㎞) ->15리(약 60㎞) |
2011.04.12 | 단위 환산 오류 | [구성/내용] 『죽도도설』에는 「죽도지도(竹島之圖)」(현 울릉도 지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송도(현 독도)를 ‘은기국 송도(隠岐國 松島), 은기의 송도(隠岐ノ松島)’로 표기한 구절이 나온다. 이는 송도를 일본령으로 인식한 것으로 이를 근거로 일본은 독도가 오래전부터 일본령임을 강조하였다.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키국 송도(松島)의 서도(西島: 송도의 소속 섬으로 그 고장에서는 차도(次島)라고 부른다)로부터 바닷길로 40리쯤 떨어진 북방에 한 섬이 있으니 이름을 죽도(竹島)라고 한다. 이 섬은 일본에 접하고 조선에(죽도로부터 조선까지는 뱃길로 40리(약 15㎞) 쯤에 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1724년(향보 9) 예전에 여러 번 그 섬에 건너간 적이 있는 한 노인에게 들은 것이다. 노인이 말하기를 하쿠슈[泊州]로부터 오키의 후국(後國)까지 35~36리(약 13~14㎞)에 있으니 이 섬이 멀리에서도 보이는 것을 고려하여 볼 때, 죽도로부터 조선 산은 멀리 볼 때 약 40리(약 15㎞) 쯤의 거리에 있다고 한다. 살펴보건대 조선 산이라는 것은 조선의 울릉산이다) 인접하였는데, 지형은 삼각으로 주위는 대충 15리(약 5㎞) 정도이다. (중략) 하쿠슈 요나고로부터 죽도까지 바닷길로 160리(약 62㎞) 정도가 된다. 요나고에서 이즈모로 나와 오키의 송도를 지나 죽도에 이르게 되며 단, 오키의 후쿠시마에서 송도까지는 바닷길로 60리(약 23㎞) 정도, 송도에서 죽도까지는 40리(약 15㎞) 가량이라고 했다. 이상의 제설(諸說)은 1724년(향보 9) 관부(官府: 에도 막부)의 하문에 의하여 요나고의 백성 오오야 규에몬및 무라카와 이치베라고 하는 자의 답서(答書)에 의거한 것이다.” 수정사항 : 40리(약 15km) -> 40리(약 160km) 35~36리(약 13~14㎞) -> 35~36리(약 140~144㎞) 약 40리(약 15km) -> 약 40리(약 160km) 160리(약 62㎞) -> 160리(약 640㎞) 60리(약 23㎞) -> 60리(약 240㎞) 15리(약 5㎞) ->15리(약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