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울릉문화대전 > 울릉향토문화백과 >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 과학기술 > 지원기관·시설
-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남서리에 있는 발전소. 만성적인 울릉군의 전력 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3,000㎾급 규모로 한국전력이 1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서면 남서리의 2,772㎡에 달하는 부지에 건립하였다. 남양내연발전소 건립은 1995년 9월 4일 기공을 시작하여, 1996년 8월에 남양내연발전소의 상업 운전이 시작되었다. 발전소의 준공은 1997년 4월 25일에 이루어...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에 있는 내연발전소. 산업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추산수력발전소에 의존해 오던 울릉군의 전력 공급은 점점 부족해졌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이 1980년 6월 울릉읍 저동리의 1만 4,656㎡에 달하는 부지에 울릉내연발전소를 설립하였다. 울릉내연발전소는 1980년 6월, 발전기 1~4호기[2×1,000㎾, 2×500㎾]가 준공되었다. 이어 1986년 1월부터는...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에서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건립했던 풍력발전소. 울릉풍력발전소는 제주도를 제외하고,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지역 에너지 사업으로 시공되었다. 경상북도의 의뢰로 경북대학교 공학 설계원이 1997년 4월부터 1년간 타당성 조사를 하였고, 1998년부터 27억 50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1999년 11월 울릉풍력 1호기[600㎾]를 완성하였...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에 있는 수력발전소. 추산수력발전소는 1962년에 정부의 울릉도종합개발기술조사단이 수리 및 지질학상의 여건을 답사한 결과, 용수량의 불변 및 계속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도서전원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제1수력발전소가 1억 8180만 원을 들여 1963년 4월 4일에 착공, 1966년 5월 3일에 완공되었다. 1966년 5월 3일 제1수력발전소[2×600㎾]가 준...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에 있는 기상업무를 담당하는 공공기관. 1938년 1월에 울릉도측후소가 신설되었으며, 같은 해 8월 종관기상관측 일조관측을 시작하였다. 1938년 9월에는 대형과 소형의 증발량 관측과 곡관지중(曲管地中) 온도 관측을 시작하였다. 1939년 1월에는 철관지중(鐵管地中) 온도 관측을 시작하고, 1970년 7월에는 중앙관상대 부산지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
-
경상북도 울릉군의 고정 무선 업무를 담당했던 무선전신국. 대한민국 정부 수립 당시 무선 전신국은 6개국이었다. 이 가운데 제주 지역과 울릉도 무선국은 중요 도시를 상대로 한 고정 무선 업무만을 취급하였으며, 나머지 4개국은 도시와 섬을 상대로 고정 무선과 함께 선박을 상대로 하는 해안 업무까지 취급하였다. 군정청은 해안 업무나 선박 무선 취급에 전시 특례 규정을 두었다가 7개월 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에 있는 지방 어업정보통신국. 울릉어업정보통신국은 1966년 12월 후포무선국 울릉단국이란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1972년 12월부터는 해안국 증설 후포어업무선국으로 분리되어 운영하기 시작하였으며, 1976년에는 무선국이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에서 저동리로 이전하여 설치되었다. 1978년에는 어선 무전기 수리 센터를 개설하였으며, 1979년에는...
-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실시간으로 기상 요소를 관측하는 장비. 자동 기상관측 장비는 수동식 관측 방법을 자동화로 전환하면서 추진된 것이다. 1988년 서울올림픽 기상지원용으로 AWS(Atomatic Weather System) 15대를 도입하여 운용한 것이 계기가 되어, 1990년에서 1994년까지 방재용 AWS 400대를 설치 완료하였다. 울릉도에는 1987년 강우 강도 관측을 시작...
-
2007년 경상북도 울릉군의 해저 지진 관측을 위해 설치한 장비. 2004년 인도네시아 지진해일과 이듬해 3월 우리나라 전역에 영향을 미친 일본 후쿠오카 부근 해역의 지진을 계기로, 지진해일에 대한 대비 능력을 높이기 위해 2006년 말부터 추진되었다. 1년 동안 해양 조사, 광케이블 및 지진계 제작 등 준비 과정을 거친 후 2007년에 울릉도 남쪽 20km 해역까지 해저 광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