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344
한자 豊山邑
영어음역 Pungsan-eup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규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구역
면적 96.64㎢
총인구(남, 여) 7,085명(남자 3,547명, 여자 3,538명)[2016년 4월 30일 기준]
가구수 3,557세대[2016년 4월 30일 기준]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에 속하는 법정읍.

[명칭유래]

풍산읍을 에워싸고 있는 산 모양이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를 합친 것처럼 생겨 이 두 글자를 합하여 ‘풍(豊)’자를 쓰고, 뫼 ‘산(山)’자를 붙여 풍산이라 지었다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삼국시대에 하지현(下枝縣)에 속하였다가 신라 경덕왕 때 영안(永安)으로 고쳐 예천군(醴泉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시대에 풍산현(豊山縣)으로 개칭하였고, 명종 때 감무(監務)를 두었다가 안동부(安東府)에 예속시켰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안동군 풍산현 내면(內面)의 4개 동과 서선면(西先面)의 7개 동을 병합하여 풍산면이라 하였다.

이때 11개 동(막곡동, 계평동, 수곡동, 회곡동, 수동, 노동, 단호동, 상리동, 하리동, 안교동, 마애동)을 관할하였다. 193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풍북면(豊北面)의 8개 동과 풍서면(豊西面)의 1개 동을 편입하였고, 1987년 단호동이 남후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풍산읍으로 승격하였다.

[자연환경]

북쪽으로 소백산맥의 지맥인 학가산(鶴駕山)과 보문산(普門山, 643.1m)이 둘러싸고 있다. 지형은 대체로 북서쪽이 남동쪽보다는 높은 편이다. 동쪽과 서쪽은 낮은 구릉지이며, 남쪽은 완만한 풍산평야가 펼쳐져 있다. 풍산평야낙동강·매곡천(梅谷川)·상리천(上里川) 유역에 형성되어 있는데, 안교리소산리의 남쪽에 해당한다.

서쪽에서 매곡천이 북에서 남으로, 동쪽에서 상리천이 북에서 남으로 흘러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읍의 남쪽 사방에 형성된 나지막한 구릉과 골짜기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고, 큰 규모의 마을은 매곡천과 상리천을 중심으로 한 풍산평야 주변에 들어서 있다. 곳곳에 신양저수지, 만운저수지, 산곡지, 소산지 등 크기가 다양한 저수지가 흩어져 있다.

[현황]

안동시 서북쪽에 있는 지역으로 2008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96.64㎢로 절반가량이 임야이며, 2016년 4월 30일 현재 총 3,557세대에 7,085명(남자 3,547명, 여자 3,538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안교리, 상리리, 하리리, 마애리, 수리, 회곡리, 계평리, 막곡리, 수곡리, 노리, 죽전리, 만운리, 서미리, 신양리, 현애리, 오미리, 괴정리, 매곡리, 소산리 등 19개 법정리(34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읍 소재지는 안교리이다.

동쪽으로 송하동·강남동, 서쪽으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남쪽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풍천면·남후면, 북쪽으로 예천군 보문면과 이웃하고 있다. 읍 중앙부로 중앙고속도로가 북서-남동 방향으로 지나가고, 노리(魯里)서안동인터체인지가 있다. 남쪽으로는 국도 34호선지방도 916호선이 교차하여 지나간다. 풍산평야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지며, 특산물로 풍산김치, 안동한지, 수박, 무, 고추 등이 생산된다.

문화 유적으로 마애리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磨崖石造毘盧舍那佛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호)·산수정(山水亭,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22호)·안동 이로당(安東怡老堂,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12호), 막곡리의성김씨 율리 종택(義城金氏栗里宗宅, 중요민속문화재 제181호)·안동 막곡동 삼층석탑(安東幕谷洞三層石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0호)·청성서원(靑城書院,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3호)·석문정(石門亭,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4호)이 있다.

또한 소산리청원루(淸遠樓,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9호), 삼구정(三龜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3호), 안동김씨 종택(安東金氏宗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5호), 삼소재(三素齋,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66호), 묵재 고택(黙齋古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85호), 안동 소산동 동야 고택(安東素山洞東埜古宅,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3호), 비안공 구택(比安公舊宅,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1호)가 있다.

만운리만운동 모선루(晩雲洞慕先樓, 중요민속문화재 제180호), 상리리체화정(棣華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예안이씨 상리 종택(禮安李氏上里宗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67호), 수리풍산류씨 수동재사(豊山柳氏水洞齋舍,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27호), 안교리예안이씨 정충·정효각(禮安李氏㫌忠旌孝閣,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8호)이 있다.

오미리오미동 참봉택(五美洞參奉宅, 중요민속문화재 제179호)·오미동 도림강당(五美洞道林講堂,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9호)·안동 풍산김씨 종택(安東豊山金氏宗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38호)·안동 풍산김씨 영감댁(安東豊山金氏令監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39호)·삼벽당(三碧堂, 문화재자료 제273호), 죽전리안동 죽전동 삼층석탑(安東竹田洞三層石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9호)이 있다.

하리리예안이씨 충효당(禮安李氏忠孝堂, 보물 제553호)·하리동 일성당(下里洞日省堂, 중요민속문화재 제178호)·안동 하리동 모전삼층석탑(安東下里洞模塼三層石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7호)·안동 하리동 삼층석탑(安東下里洞三層石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8호)·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禮安李氏司直公派舊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68호), 현애리안동김씨 북애공 종택(安東金氏北涯公宗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7호)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